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연구보고서 11-27-0415-3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패러다임 구축(Ⅴ): 결혼이민자의 사회적 관계 증진을 위한 정책지원방안

서명/저자사항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패러다임 구축(Ⅴ): 결혼이민자의 사회적 관계 증진을 위한 정책지원방안 / 김이선 [외]저
개인저자
김이선
발행사항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1
형태사항
210p. ; 25 cm.
ISBN
9788984914551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M039466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M03946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Ⅰ. 연구개요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내용 및 방법
가. 연구내용
나. 연구방법

Ⅱ. 기존 연구 리뷰 및 원자료 분석
1. 이론적 배경
가. 이민자의 사회 통합과 사회적 관계
나. 사회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 한국사회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관계
가. 사회적 관계형성에 있어 결혼이민자의특수성
나. 사회적 관계의 양상
다. 사회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2009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를 통해 본 결혼이민자의 사회적 관계 현황
가. 결혼이민자의 어려움 의논 상대
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비교
4. 기존 연구의 한계 및 본 연구의 주안점

Ⅲ.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관계와 사회통합
1. 조사개요
가. 조사 내용
나. 주요 변수다. 조사방법
라. 조사대상의 인구ㆍ사회학적 특성
2.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관계 형성 배경
가.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생활 경험
나. 여성결혼이민자의 외부 활동 양상
다.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사회 통합 수준
3. 여성결혼 이민자의 사회적 관계 제 양상
가. 결혼 이주에 따른 사회적 곤계의 재구성
나. 한국에서의 사회적 관계형성 통로
다. 자신의 사회적 관계에 대한 평가
4.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관계유형과 관련 변수
가. 사회적 관계 유형별 특성
나. 사회적 관계유형에 따른 한국생활 경험의 차이
5. 사회적 관계 유형과 사회통합의 관계
가. 사회적 관계유형과 한국생활 만족도
나. 사회적 관계유형과 문화적 유능감
다. 사회적 관계유형과 사회생활 참여도
6. 소결 : 사회적 관계와 사회통합의 가능성에 대하여

Ⅳ.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생활 경험과 사회적 관계의 역동성
1. 인터뷰 개요
가. 인터뷰 대상
나. 인터뷰 내용
2. 이주와 사회적 관계의 공백 경험
가. 한국생활 초기의 사회적 관계 공백
나. 사회적 관계미발달의 지속
다. 위기 상황에서 지지망 기능 한계
3. 모국인을 통한 사회적 관계의 '물꼬 트기'
가. 모국인 관계형성 계기
나. 유대 지향적 관계의 지지망 효과
다. 모국인 관계의 한계
4. 사회적 관계발달과 '한국인의 가족원' 이라는 특수성
가. 가족내 가교지향적 관계의 가치
나. 가족관계가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5. 가족 외부의 한국인 : 관계 질서 재편의 시험대
가. 한국인과의 관계 형성 시도
나. 관계 형성의 한계
다. 가교 지향적 관계의 가치 확인과 관계 발달 가능성
6. 소결
가. 사회적 관계미발달의 위험성
나. 사회적 관계망의 두 축 : 모국인 관계 - 한국인 관계
다. 가족 의존적 관계형성의 한계와 변화 가능성

Ⅴ.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가. 결혼이민자의 한국생활과 사회적 관계의 가치
나. 사회적 관계의 자원
다. 사회통합의 진전과 사회적 관계의 재구성
라. 사회적 관계발달의 장애요인과 극복 가능성
2. 사회적 관계 발달과 현행 정책의 효과
3. 정책 제언
가. 결혼이민자의 사회적 관계발전을 위한 정책 기조 확립
나. 사회적 소외 위험군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적극적 대처
다. 사회적 관계에 대한 가족 지지 확립
라. 한국인과의 수평적 관계형성 기회 확대
마.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활동을 위한 브릿지 프로그램 개발
바. 결혼이민자 모국인 네트워크의 기능 확립
사. 기관, 단체, 기업 차원의 인종ㆍ문화간 관계 증진 프로그램 실시

참고문헌

부록
<부록 1> 설문조사 가이드라인
<부록 2> 설문조사표
<부록 3> 인터뷰 문항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