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39451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M03945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과 방법
3. 선행연구
가. 경력단절 현상에 대한 선행연구
나. 직장상실자의 임금손실에 대한 선행연구
다. 추정방법에 대한 선행연구
Ⅱ. 경력단절 여성의 규모와 특성
1. 여성 경력단절화의 규모
가. 분석에 활용한 자료
나. 비취업화의 규모
2. 경력단절 여성의 현재 규모
Ⅲ. 경력단절 여성의 근로생애 유형
1. 여성의 근로생애유형의 분포
가. 근로생애유형 분류
나. 연령별 근로생애유형
다. 학력별 근로생애유형
2. 여성의 근로생애유형별 특성
가. 취업후 비취업지속자의 특성
나. 비취업 후 취업지속자의 특성
다. 취업과 비취업의 반복자 특성
라. 연속취업자의 특성
3. 경력단절 여성의 특성과 근로생애유형
가. 경력단절 여성의 특성
나. 근로생애 유형
Ⅳ. 경력단절 여성의 임금손실
1. 모수적 방법 : OLS와 Heckman 2단계 모형을 이용한 경력단절의 임금손실 추정
가. 분석모형
나. 자료
다. 부석대상
라. 변수와 기초분석
마. 모형추정
2. 비모수적 방법 : PSM 방식을 이용한 임금손실 추정
가. PSM 방법이란?
나. 분석에 사용된 자료
다. 분석 1 : 전체 사유가 포함된 비취업의 임금 및 소득손실
라. 분석 2 : 혼인, 임신, 출산, 육아, 가사 등 사유로 인한 비취업의 임금 및 소득손실
마. 최소자승법을 이용한 결과와의 비교
Ⅴ. 요약 및 결론
1. 연구결과 요약
가. 경력단절 여성의 규모
나. 경력단절 여성의 특성과 근로생애 유형
다. 경력단절 여성의 임금손실
2. 시사점과 정책방안
가. 시사점
나. 정책방안
참고문헌
부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