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38139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M03813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이 책은 모두 4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에서는 사회서비스의 개념과 정책가치들을 정리하였다. 아직 합의된 상태는 아니지만 현재까지 논의되고 있는 내용들을 정리하고 사회서비스정책에 도입된 새로운 접근방법으로 사회기반투자, 소비자 중심, 시장, 그리고 일자리에 대한 내용들을 소개하였다.
제2부에서는 사회서비스정책에 도입되고 있는 새로운 정책관리방식들을 정리하였다. 여기에는 사회서비스 품질관리와 성과관리를 먼저 정리하였다. 수요자 중심 가치를 실천하기 위한 핵심수단으로써 바우처에 대한 논의와 사회서비스의 가격에 대한 주제들도 정리하였다. 수요자 중심의 사회서비스정책에서는 바우처를 제공받는 이용자도 정책관리의 주요 대상자가 되기 때문에 이용자의 부정에 대한 쟁점들도 정리하였다.
제3부에서는 보편적 사회서비스정책이 지속되면서 새롭게 형성되고 있는 정책거버넌스를 소개하였다. 사회서비스정책에서의 거버넌스 구조에 대한 정리와 함께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사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제공기관과 인력의 특성들 그리고 지방정부의 역할들을 재조명하였다.
제4부에서는 사회서비스의 구체적인 실제 영역들을 정리하였다. 사회서비스는 개인과 가족의 일상영역과 관련성이 깊다. 그 가운데 국가의 집합적 역할이 강조되는 대표적인 하위영역으로 가족, 아동, 청소년, 장애인, 그리고 노인 분야에서 사회서비스정책을 접목하는 방식과 내용에 대해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서비스정책에서 새로운 실험의 장이 되고 있는 보건복지부의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과 사회서비스 청년사업단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사업의 의미와 비중을 고려하여 별도의 장으로 정리하였다.
필자소개
강상경 /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김용득 / 성공회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김은정 / 계명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김 진 / 동덕여자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김혜란 / 주성대학 복지행정과 교수
박혜자 / 호남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서재호 / 부경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양기용 / 부경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윤영진 / 계명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이봉주 /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이상균 / 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부 사회복지전공 교수
이인재 / 한신대학교 재활학과 교수
이재원 / 부경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장혜경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가족·사회통합정책연구실장
정광호 /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
제2부에서는 사회서비스정책에 도입되고 있는 새로운 정책관리방식들을 정리하였다. 여기에는 사회서비스 품질관리와 성과관리를 먼저 정리하였다. 수요자 중심 가치를 실천하기 위한 핵심수단으로써 바우처에 대한 논의와 사회서비스의 가격에 대한 주제들도 정리하였다. 수요자 중심의 사회서비스정책에서는 바우처를 제공받는 이용자도 정책관리의 주요 대상자가 되기 때문에 이용자의 부정에 대한 쟁점들도 정리하였다.
제3부에서는 보편적 사회서비스정책이 지속되면서 새롭게 형성되고 있는 정책거버넌스를 소개하였다. 사회서비스정책에서의 거버넌스 구조에 대한 정리와 함께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사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제공기관과 인력의 특성들 그리고 지방정부의 역할들을 재조명하였다.
제4부에서는 사회서비스의 구체적인 실제 영역들을 정리하였다. 사회서비스는 개인과 가족의 일상영역과 관련성이 깊다. 그 가운데 국가의 집합적 역할이 강조되는 대표적인 하위영역으로 가족, 아동, 청소년, 장애인, 그리고 노인 분야에서 사회서비스정책을 접목하는 방식과 내용에 대해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서비스정책에서 새로운 실험의 장이 되고 있는 보건복지부의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과 사회서비스 청년사업단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사업의 의미와 비중을 고려하여 별도의 장으로 정리하였다.
필자소개
강상경 /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김용득 / 성공회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김은정 / 계명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김 진 / 동덕여자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김혜란 / 주성대학 복지행정과 교수
박혜자 / 호남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서재호 / 부경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양기용 / 부경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윤영진 / 계명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이봉주 /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이상균 / 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부 사회복지전공 교수
이인재 / 한신대학교 재활학과 교수
이재원 / 부경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장혜경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가족·사회통합정책연구실장
정광호 /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
목차
제1부 개념과 가치
제1장 사회서비스의 개념과 유형화
제2장 신사회위기와 사회기반 투자 접근
제3장 사회서비스정책에서 소비자 중심, 시장, 일자리
제2부 정책관리
제4장 사회서비스 품질관리
제5장 사회서비스정책의 성과관리
제6장 사회서비스와 바우처
제7장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가격결정효과
제8장 사회서비스정책에서 이용자 부정 관리
제3부 사회서비스정책의 거버넌스
제9장 사회서비스정책과 거버넌스
제10장 사회서비스 제공기관과 인력
제11장 사회서비스정책과 지방정부
제4부 정책분야
제12장 가족과 사회서비스
제13장 아동과 사회서비스
제14장 청소년과 사회서비스
제15장 장애인과 사회서비스
제16장 노인과 사회서비스
제17장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제18장 지역대학과 사회서비스 청년사업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