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고령 사회 서울의 변화전망과 정책과제
Prospective Changes and Policy Agendas for Super-aged Society, Seoul
- 서명/저자사항
- 초고령 사회 서울의 변화전망과 정책과제 / 김경혜; 김선자; 노은이 [공]저
- 대등서명
- Prospective Changes and Policy Agendas for Super-aged Society, Seoul
- 발행사항
- 서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10
- 형태사항
- ix, 158 p. : 삽도, 도표 ; 26cm
- 총서사항
- 시정연 2010-SR-01
- ISBN
- 9788980527380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37226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M03722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개요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범위
3. 연구내용 및 구성체계
4. 연구방법
제2절 선행연구 검토: 고령화의 파급효과와 변화전망
1. 고령화와 경제성장
2. 노후보장과 재정부담
3. 소비구조의 변화
4. 분배구조의 악화와 노인빈곤
5. 세대갈등
제2장 서울시 고령화 추이와 전망
제1절 서울시 인구특성 변화
1. 서울시 인구구조 변화
2. 고령인구 특성 변화
제2절 서울시 중ㆍ고령자 특성: 설문조사 결과
1. 조사개요
2. 주요 조사결과
제3장 고령화의 사회ㆍ경제적 파급효과
제1절 노동력의 감소와 경제성장
1. 서울의 노동력 변화
2. 노동력의 수요ㆍ공급 전망
3. 소결
제2절 고령자 소득ㆍ자산 특성
1. 소득
2. 자산
3. 불균등과 양극화
4. 소결
제3절 소비구조의 변화
1. 고령자 가계지출 특성
2. 소비행태와 의식의 변화
3. 소결
제4절 의식 및 태도의 변화
1. 미래노인의 특성변화
2. 사회참여 특성
3. 소결
제4장 고령화에 대응한 서울시 정책과제
제1절 부정적 영향의 최소화 전략
1. 노인빈곤 예방
2. 고령자의 소비력 유지
3. 노인복지 재정수요 최소화
제2절 기회요소의 활용 전략
1. 사회적 자본으로서의 고령인력 활용
2. 고령친화산업 육성
제3절 고령친화 도시환경 조성
1. 필요성
2. 고령화 정책 동향
3. 서울시의 과제
제5장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영문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