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행본
최신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 현황과 과제
- 서명/저자사항
- 최신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 현황과 과제/ 선우덕...외[저]
- 발행사항
- 서울 : 노인연구정보센터, 2012
- 형태사항
- 290 p. : 삽화 ; 27 cm
- ISBN
- 9788997117116
- 주기사항
- 공저자 : 김찬우, 임효연, 김순옥, 서동민, 양영애, 최인덕, 김도훈, 이서영, 김병한, 권진희, 류애정, 김성희, 이경락, 박동자, 황재영 각 장마다 주, 참고문헌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40687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M04068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장기요양보험제도, 어디까지 왔나?
전문가 16인의 명쾌한 해설로 읽는다
제도와 시범사업 설명은 이제 그만!
노인장기요양제도가 시행된 지 올해로 3년째가 되었다. 처음 도입된 이 제도에 대해 많은 연구는물론, 비판의 목소리도 컸다. 이 과정에서 장기요양제도에 관한 정의와 설명들, 특히 시범사업 설명들이 쏟아져 나왔지만, 장기요양보험제도의 현 위치를 정확하게 짚어주고, 앞으로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연구서나 책은 거의 전무했다.
이런 필요에 따라 이 책이 탄생하게 되었다. 뜻있는 신진 학자 및 연구자 16명이 머리를 맞대고 논의를 거듭한 끝에 시행 3년 째인 장기요양보험제도의 현황과 앞으로의 과제와 관련, 16개의 주제를 선정하고, 그에 따른 자료를 수집하여 각 장마다 이론적 배경이나 개념에서 시작하여 현행제도의 내용, 실적 및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일관성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은 학자들뿐 아니라 정책 집행 책임자, 연구자, 요양보호시설 운영자 및 실무자까지 실로 각 분야의 전문가들의 의견을 한데 모았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특히 사변적인 논의, 혹은 탁상공론에 그치지 않도록 실무자의 목소리까지 담아내고 있어 관계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저자 정보
선우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김찬우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부교수
임효연
세종사이버대학교 노인복지학과 조교수
김순옥
구립 서초노인요양센터 사무국장
서동민
백석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
양영애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조교수
최인덕
관동대학교 관광의료복지대학 사회복지학과 조교수
김도훈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연구행정부장
이서영
서울사이버대학교 노인복지학과 조교수
김병한
사회복지법인 동명원, 동명노인복지센터 원장
권진희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류애정
보건복지부 지역복지과 전문위원
김성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
이경락
영동대학교 건설공학부 건축전공 부교수
박동자
국민건강보험 요양급여실 인정관리 3파트장
황재영
주식회사 노인연구정보센터 센터장
전문가 16인의 명쾌한 해설로 읽는다
제도와 시범사업 설명은 이제 그만!
노인장기요양제도가 시행된 지 올해로 3년째가 되었다. 처음 도입된 이 제도에 대해 많은 연구는물론, 비판의 목소리도 컸다. 이 과정에서 장기요양제도에 관한 정의와 설명들, 특히 시범사업 설명들이 쏟아져 나왔지만, 장기요양보험제도의 현 위치를 정확하게 짚어주고, 앞으로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연구서나 책은 거의 전무했다.
이런 필요에 따라 이 책이 탄생하게 되었다. 뜻있는 신진 학자 및 연구자 16명이 머리를 맞대고 논의를 거듭한 끝에 시행 3년 째인 장기요양보험제도의 현황과 앞으로의 과제와 관련, 16개의 주제를 선정하고, 그에 따른 자료를 수집하여 각 장마다 이론적 배경이나 개념에서 시작하여 현행제도의 내용, 실적 및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일관성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은 학자들뿐 아니라 정책 집행 책임자, 연구자, 요양보호시설 운영자 및 실무자까지 실로 각 분야의 전문가들의 의견을 한데 모았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특히 사변적인 논의, 혹은 탁상공론에 그치지 않도록 실무자의 목소리까지 담아내고 있어 관계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저자 정보
선우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김찬우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부교수
임효연
세종사이버대학교 노인복지학과 조교수
김순옥
구립 서초노인요양센터 사무국장
서동민
백석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
양영애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조교수
최인덕
관동대학교 관광의료복지대학 사회복지학과 조교수
김도훈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연구행정부장
이서영
서울사이버대학교 노인복지학과 조교수
김병한
사회복지법인 동명원, 동명노인복지센터 원장
권진희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류애정
보건복지부 지역복지과 전문위원
김성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
이경락
영동대학교 건설공학부 건축전공 부교수
박동자
국민건강보험 요양급여실 인정관리 3파트장
황재영
주식회사 노인연구정보센터 센터장
목차
여는 글
Part 1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개요
Part 2 장기요양 인정체계
Part 3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지원체계
Part 4 장기요양 급여체계
Part 5 장기요양서비스 수가체계
Part 6 복지용구
Part 7 재원조달체계
Part 8 관리운영체계
Part 9 요양보호사제도
Part 10 장기요양시설 인프라
Part 11 장기요양서비스 질 평가체계
Part 12 장기요양 비인정자 지원체계
Part 13 관련 제도(1):장애인 활동지원제도
Part 14 관련 제도(2): 노인주거지원제도
Part 15 독일의 장기요양보험제도
Part 16 일본의 장기요양보험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