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의 장수인과 장수지역 : 변화와 대응
Long-lived Persons and Areas of Longevity in Korea : Changes and Responses
- 서명/저자사항
- 한국의 장수인과 장수지역 = 변화와 대응 / 박삼옥; 박상철; 최성재; 이정재; 한경혜; 이미숙; 곽충실; 송경언; 정은진
- 대등서명
- Long-lived Persons and Areas of Longevity in Korea : Changes and Responses
- 발행사항
-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 형태사항
- 439p. : 삽화 ; 24cm
- ISBN
- 9788952107879
- 주기사항
- 색인 수록 참고문헌 수록 이 연구는 2003, 2004년도 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았음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40271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M04027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서론(박삼옥)
1. 연구의 배경
2. 장수 현상에 대한 지역 연구의 필요성
3. 연구의 목적과 방법
제1부 한국의 지역적 장수도 차이
제2장 한국 장수도 변화와 장수지역의 환경적 특성(박삼옥 · 정은진)
1. 서론
2. 한국의 고령화 현상
3. 장수도 분포의 변화
4. 한국 장수도의 환경적 특성
5. 소결
참고문헌
제3장 장수지역과 고령인구 이동지역(이정재)
1. 서론
2. 지역에 따른 장수도 변화
3. 고령인구의 이동
4. 소결
참고문헌
제2부 장수인과 장수지역사회: 사회문화 및 복지적 특성
제4장 장수인의 사회적 관계와 생활세계(한경혜)
1. 연구의 목적
2. 연구내용, 범위 및 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참고문헌
제5장 장수인의 사회적·복지적 특성(최성재)
1. 서론
2. 기존 문헌 검토
3. 표집 및 자료수집 방법
4. 장수지역 노인의 사회적 특성
5. 장수지역 노인의 복지적 특성
6. 사회적·복지적 특성과 장수의 관계
7. 소결
참고문헌
제3부 장수인의 지역적 차이: 식생활과 의학적 특성
제6장 호남 장수지역 장수인의 식생활과 영양소섭취상태
─ 장수벨트지역과 인근 도시지역의 비교(이미숙)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소결
참고문헌
제7장 강원 장수지역 장수인의 식생활과 영양실태(이미숙)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호남장수벨트지역과의 비교
5. 소결
참고문헌
제8장 장수인의 의학적 특성과 질병패턴(박상철 · 곽충실 · 권인순)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및 고찰
4. 소결
참고문헌
제4부 장수지역 산업체계와 지역발전
제9장 장수지역 제조업의 생산 및 혁신 네트워크와 발전방향(박삼옥 · 송경언)
1. 서론
2. 생산연계와 혁신 네트워크
3. 장수지역 경제활동의 공간적·산업적 연계
4. 장수지역 경제활동의 혁신 네트워크
5. 농촌발전모델 정립의 새로운 방향
6. 소결
참고문헌
제10장 장수지역 서비스기능의 네트워크와 지역발전(박삼옥 · 송경언)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연구방법
3. 서비스기능의 생산연계
4. 서비스기능의 혁신 네트워크
5. 소결
참고문헌
제11장 요약과 제언(박삼옥)
1. 요약
2. 제언: 장수지역사회의 발전
찾아보기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