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지방예산제도
- 서명/저자사항
- 새로운 지방예산제도/ 임성일, 이효, 서정섭
- 발행사항
- 서울 : 박영사, 2013
- 형태사항
- 245 p. ; cm
- 총서사항
- 한국지방행정연구원총서
- ISBN
- 9788964543603
- 주기사항
- 참고문헌 : p. 233-237
- 주제어
- 지방예산제도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41359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M04135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1. 연구의 범위와 주요 내용
2. 연구의 방법
3. 연구의 분석틀: 접근방법
제2장 정부예산 이론과 지방자치단체 예산제도
제1절 정부예산 이론과 새로운 예산제도의 출현
1. 개요
2. 새로운 예산제도의 출현
제2절 지방예산제도 관련 선행연구
제3절 우리나라 지방예산제도의 개요
1. 사업예산제도
2. 성과예산제도
3. 성인지 예산제도
4. 주민참여예산제도
제3장 지방자치단체 예산제도 간의 연계 실태
제1절 개관
제2절 예산제도 간 연계의 문제점
1. 예산과정 측면
2. 예산운영단위(예산과목) 측면
3. 조직/부서 간 협력 측면
4. 성과관리 측면
5. 이해관계자 측면
6. 정보공유 측면
7. 세입ㆍ세출 측면
8.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인식 측면
제3절 지방자치단체 예산제도 연계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1. 조사개요
2. 설문조사 결과
제4장 지방자치단체 예산제도의 연계성 강화방안
제1절 지방예산제도의 연계 강화를 위한 기본 인식과 접근
1. 지방예산제도의 연계 강화 필요성
2. 기본인식
3. 기본접근
제2절 지방예산제도 간의 연계성 강화방안
1. 지방예산제도의 지향가치(원리) 측면에서의 예산제도 연계
2. 예산과정(budget process) 측면에서의 연계 강화
3. 예산운영단위(예산과목) 중심의 지방예산제도 연계성 강화
4. 예산 성과관리 측면에서의 예산제도 간 연계성 강화
5. 재정정보시스템(e-호조)에 의한 정보공유 측면의 연계성 강화
6. 기타 지방예산제도 간 연계성 강화방안
제5장 종합 및 정책건의
제1절 종합
제2절 정책방안의 제시
1. 기본인식과 접근
2. 기방예산제도 간의 연계성 강화방안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