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43688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M04368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지역사회복지의 개념과 역사, 지역사회복지실천 관련 관점과 이론 등을 다루는 제1부에서 제3부까지는 전반적인 틀을 유지하면서 세부 서술내용을 손질하였다. 집중적으로 보완을 한 부분은 지역사회복지 현장을 다룬 제4부이다. 제도적 환경이 크게 바뀐 상황을 반영하여 제10장 지방분권 관련 내용을 대폭 개정하였고, 직접적 서비스 부문을 다룬 제11장에는 재가복지봉사센터를 빼고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과 지역자활센터를 추가하였다. 제12장에서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관련된 바뀐 규정을 반영하는 데 주력하였고, 제13장에서는 사회복지시설에 관한 규정의 변동을 담았다. 지역사회복지의 운동적 접근을 다룬 제14장도 크게 손질하여 ‘사회적 경제’를 새로운 주제로 삼아 관련 내용을 추가하였고, 도시재생과 같은 관련 영역의 동향도 삽입했다. 마지막 제15장에서도 그동안 바뀐 상황을 반영하여 논점을 보완하여 제시했다.
목차
· 개정2판 서문
· 개정판 서문
· 초판 서문
제1부 지역사회복지의 기초개념
제1장 지역사회복지와 지역사회복지실천
1, 지역사회복지
2. 지역사회복지실천
3. 관련 용어
4.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제2장 지역사회 개념의 이해
1. 지역사회복지실천과 지역사회
2. 지역사회의 전통적 개념
3. 지역사회의 조작적 개념
4. 실천관점에서 본 지역사회 관련개념
제2부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이론과 과정
제3장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관점과 이론
1. 실천 관점
2. 실천관련 이론들
제4장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
1. 실천모델 개요
2. 로스만의 세 가지 실천모델
3. 웨일과 갬블의 실천모델
4. 테일러와 로버츠의 실천모델
5. 천모델의 최근 변화
6. 실천모델의 선택과 지역사회복지실천가의 역할
제5장 지역사회복지실천 과정
1. 문제확인
2. 욕구사정
3. 계획수립 및 실행
4. 개입평가
제3부 지역사회복지실천 기술
제6장 지역사회복지 욕구사정 및 조사기법
1. 대화활용 기법
2. 지역사회 포럼
3. 집단활용 기법
4. 세력장분석 기법
5. 양적 자료분석 기법
제7장 지역사회 권력구조 이해
1. 지역사회권력과 지역사회복지실천
2. 이익집단의 협력관계
3. 정치적 의사결정 모델
4. 입법분석
제8장 주민 조직화
1. 조직화의 개념
2. 주민동원 전술과 기술
3. 회의운영 기술
제9장 옹호
1. 개념과 의의
2. 옹호의 유형
3. 거시적 실천 수준에서의 옹호
4. 입법관련 로비활동 및 입법옹호
5. 옹호의 기술
제4부 한국 지역사회복지 현장
제10장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제도적 환경
1. 제도적 환경의 최근동향
2. 제도변화의 양상
3. 지역사회복지실천의 대응과제
제11장 직접적 서비스 기관 및 사업
1. 사회복지관
2. 지역사회 정신보건시설
3.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4. 지역자활센터
5. 재가장기요양기관
제12장 협의ㆍ조정ㆍ지원기관
1. 사회복지협의회
2. 사회복지공동모금회
3. 자원봉사센터
제13장 사회복지시설과 지역사회: 시설의 사회화
1. 사회복지시설과 지역사회복지
2. 사회복지시설의 사회화
제14장 사회운동적 접근
1. 사회복지운동의 의미와 동향
2. 사회복지운동의 특성과 발전과제
3. 운동적 접근의 사례
4. 사회적 경제
제15장 지역사회복지의 동향과 과제
1. 현대 한국 지역사회복지의 동향
2. 발전과제 모색을 위한 논점
· 참고문헌
· 찾아보기
· 저자약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