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소득층 주거환경개선센터 구축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1)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Center for the Vulnerable to Housing
- 서명/저자사항
- 저소득층 주거환경개선센터 구축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1)/ 김상호 [외] 저
- 대등서명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Center for the Vulnerable to Housing
- 발행사항
- 안양: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4
- 형태사항
- ix, 235p. : 삽화 ; 27cm
- 총서사항
- AURI 협동-2013-2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 총서 13-23-01
- ISBN
- 9788997468874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43140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M04314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4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5
1) 1차년도 연구의 주요 내용 및 방법 5
2) 2차년도 연구계획 6
3. 선행연구 현황 및 본 연구의 차별성 8
1) 관련 선생연구 현황 8
2) 지원 전달체계 구축을 위한 전문조직 설립 관련 기존연구 성과 10
3) 본 연구의 차별성 11
4. 기존조직 검토 및 연구의 범위 설정 12
1) 한국토지주택공사(LH) 12
2) 센터 형태의 전담조직 13
3) 본 연구의 범위 15
5. 연구 추진과정 17
제2장 주거지원을 위한 대상 설정 및 실태 조사 19
1. 이론적 고찰 19
1) 관련 개념 정리 19
2) 주거지원의 제도적 근거 23
3) 주거지원의 목적 및 종류 24
4) 주거지원의 대상 25
2. 주거지원 대상가구의 수요 조사 29
1) 개요 29
2) 지원대상 규모 30
3) 지원대상별 가구·주택현황 및 주거지원 소요 유형 32
4) 공공의 주거지원에 대한 인식 및 소요에 관한 사항 54
4. 소결 57
1) 주거지원 대상 범위 및 수요 규모 57
2) 지원 대상가구의 현황 58
3) 주거환경개선 지원현황 및 문제점 60
제3장 주거지원에 대한 공공의 역할 63
1. 제도적 근거 63
1) 관련 법령 63
2) 관련 계획 66
2. 중앙정부의 역할 68
1) 주택종합계획 수립 68
2) 주거지원을 위한 정책·사업기획 및 예산 확보 77
3.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80
1) 광역자치단체 80
2) 기초자치단체 88
4. 소결 : 공공의 역할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 방향 90
1) 문제점 90
2) 개선방향 92
제4장 공공의 주거지원 사업 및 전달체계 분석 95
1. 분석개요 95
1) 주거지원 전달체계의 개념과 구성요소 95
2) 성공적 주거지원 전달체계의 원칙 97
2. 중앙정부의 주거지원 사업 및 전달체계 분석 99
1) 주택 개보수 지원 사업 100
2) 주거비 지원 사업 117
3. 지방자치단체의 주거지원 사업 및 전달체계 분석 122
1) 서울특별시 122
2) 전라북도 전주시 131
3) 지방자치단체 주거지원 전달체계 종합 139
4. 소결 : 전달체계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141
제5장 주거환경개선센터의 조직화 방안 143
1. 주거환경개선센터 설립의 전제 143
1) 주거환경개선센터 설립을 위한 근거 및 필요성 143
2) 주거환경개선센터의 조직체계 설정 기준 145
2. 주거환경개선센터의 조직화 방안 147
1) 주거환경개선센터의 조직체계 대안 147
2) 대안별 장·단점 분석 150
3) 주거환경개선센터의 설립·운영 및 정착을 위한 방안 152
제6장 주거환경개선센터의 운영방안 155
1. 주거환경개선센터의 운영 개요 155
1) 개념 및 운영목적 155
2) 지원대상 및 대상별 지원업무 157
2. 주거환경개선센터의 주체별 주요 업무 160
1) 중앙조직 160
2) 지역조직 161
제7장 결론 165
1. 1차년도 연구결과 165
2. 2차년도 연구방향 167
참고문선 169
Summary 175
부록1. 심층면접 조사지 179
부록2. 조사가구 면담내용 191
부록3. 프랑스의 주거지원 사례 211
부록4. 서울시 25개구 구별 주거지원 담당조직 현황 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