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총서 21

21세기 통일한국을 향한 모색: 분단과 통일의 변증법

Towards unified Korean in 21th century

서명/저자사항
21세기 통일한국을 향한 모색: 분단과 통일의 변증법/ 임현진, 정영철 저
대등서명
Towards unified Korean in 21th century
개인저자
임현진 | 정영철
발행사항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형태사항
xvi, 366 p. : 삽도 ; 23 cm
ISBN
9788952106124
주기사항
참고문헌: p. 343-359 찾아보기: p. 361-364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M044464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M04446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이 책은 통일의 당위성의 밑받침으로 인식되는 ‘민족’에 대한 새로운 해석으로부터 출발한다. 민족의 신화성과 역사성이 충돌하는 현재의 논의구조에서 추상적 이론만이 아닌 우리에게 구체적인 무게로 다가오는 민족 문제를 성찰하면서 이것이 어떻게 통일의 문제와 연관되는지를 고찰하고 있다. 이어 지난 60여 년간 지속되어 온 남과 북의 통일 정책과 방안의 역사적 과정을 고찰하고, 그 특징을 분석하고 있다. 이는 곧 정상회담 이후, 보다 더 구체적인 문제로 다가오는 통일방안의 마련을 위한 가장 기초적인 문제이다. 이 책의 강점은 당위와 필연의 문제보다는 현실성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데 있다. 통일방안과 정책의 고찰이 역사와 현실의 문제를 진단하는 토대가 된다면, 통일국가의 구체적인 상을 모색하는 2부의 내용과 현실적인 문제로서 남과 북이 처하고 있는 어려움과 위기 극복의 문제들을 다루는 3부는 통일의 문제가 단순한 당위와 필연의 문제만이 아님을 강조하고 있다. 마지막 4부는 정치와 경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통일과 통합의 문제에 사회문화적 차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러한 접근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결론은 이와 같은 분석의 기초위에서 남과 북의 통일의 시나리오를 예상해 보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우리의 대응을 찾기 위한 시론적인 분석이 담겨 있다.

이 책은 당위와 필연으로부터 출발한 통일 논의보다는 역사와 현실에 근거한 통일 논의를 중심으로 삼고 있다는 데서 독창성과 학문적 기여도를 찾을 수 있다. 통일 문제를 직접 거론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사회학적인 상상력과 ‘발본적 상상’을 통한 사회문화적 접근은 오늘날 절실히 요구되는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서론과 결론의 ‘결손국가’와 ‘통일 시나리오’에 대한 분석은 이론과 정책적인 측면에서의 추상성을 넘어 현실성을 담아내기 위한 저자들의 고민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이 책이 학문적으로 가장 큰 기여를 하고 있다면, 그것은 바로 이러한 학문적 추상성 - 이론적 정합성 - 을 완전히 배제하지 않으면서도, 구체적인 현실성에 끊임없이 접근하고 있는 시각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목차

<서론> 분단과 통일에 대한 새로운 접근: ‘결손국가’론

1. 전근대의 ‘ethnie’와 근대의 ‘nation’
2. 세계체계의 하위체계로서의 동아시아 지역
3. 남북한: 두 개의 국민을 갖는 ‘결손국가’
4. 결손국가에서 민족국가로

제1부 남북한 통일 정책의 역사와 특징

제1장 남한 통일정책의 역사와 특징: 이승만 정권에서 김대중 정권까지

1. 남한 통일정책의 전개과정과 평가
2. 남한 통일정책의 특징
3. 나가는 글: 새로운 통일환경의 도래

제2장 북한 통일정책의 역사와 특징: 연방제 방안의 변천

1. 북한 통일정책의 전개과정과 평가
2. 북한 통일정책의 특징
3. 나가는 글: 북한의 변화와 통일정책

제2부 통일한국의 이념과 체제

제1장 결손국가로서의 남북한

1. 남북한의 발전과정
2. 민족통일의 합의모형

제2장 사회민주주의와 시장사회주의

1. 자본주의의 수정: 사회민주주의의 추구
2. 사회주의의 위기: 시장사회주의의 실험

제3장 통일모형으로서 민주사회주의

1. 민주사회주의의 내용
2. 남북한의 수렴 모델로서의 민주사회주의
3. 나가는 글

제3부 남북한의 위기와 변화

제1장 남한 사회의 위기와 구조 변동: IMF와 경제 사회의 변화

1. 들어가며
2. IMF 신자유주의 구조조정의 성격
3. 한국의 금융, 기업, 노동, 공공 부문의 구조조정: 경과와 현황
4. 구조조정의 문제점
5. 나가며

제2장 북한 발전전략의 변화: 새로운 조치와 개혁·개방

1. 들어가며
2. 북한의 개혁 - 역사와 현재
3. 체제내 개혁: ‘개건’과 ‘개선’
4. 체제의 개혁: 시장의 도입과 제도화
5. 시장의 도입과 분권화의 강화: 북한식 시장 사회주의의 길
6. 나가는 글: 개혁과 전환의 갈림길

제4부 남북통합의 조건과 사회문화적 접근

제1장 남남갈등과 사회통합의 과제

1. 정상회담 이후의 남남갈등의 현실
2. 동서갈등의 현주소: 지역감정과 지역대립
3. 남북통일을 위한 사회통합의 과제
4. 나가는 글

제2장 남북통합에 대한 사회문화적 접근

1. 통일과 통합에 대한 사회문화적 접근
2. 사회문화 교류의 현황과 남북한의 이질성/동질성
3. 바람직한 사회문화적 통합 모델의 모색
4. 나가는 글

<결론> 시나리오로 본 남북통일의 전망: 방안과 모색

1. 역사적으로 본 통일유형
2. 예상되는 남북통일의 시나리오
3. 바람직한 남북통일의 방안
4. 나가는 글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