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세기 통일한국을 향한 모색: 분단과 통일의 변증법
Towards unified Korean in 21th century
- 서명/저자사항
- 21세기 통일한국을 향한 모색: 분단과 통일의 변증법/ 임현진, 정영철 저
- 대등서명
- Towards unified Korean in 21th century
- 발행사항
-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 형태사항
- xvi, 366 p. : 삽도 ; 23 cm
- 총서사항
-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총서 21
- ISBN
- 9788952106124
- 주기사항
- 참고문헌: p. 343-359 찾아보기: p. 361-364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44464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M04446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이 책은 당위와 필연으로부터 출발한 통일 논의보다는 역사와 현실에 근거한 통일 논의를 중심으로 삼고 있다는 데서 독창성과 학문적 기여도를 찾을 수 있다. 통일 문제를 직접 거론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사회학적인 상상력과 ‘발본적 상상’을 통한 사회문화적 접근은 오늘날 절실히 요구되는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서론과 결론의 ‘결손국가’와 ‘통일 시나리오’에 대한 분석은 이론과 정책적인 측면에서의 추상성을 넘어 현실성을 담아내기 위한 저자들의 고민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이 책이 학문적으로 가장 큰 기여를 하고 있다면, 그것은 바로 이러한 학문적 추상성 - 이론적 정합성 - 을 완전히 배제하지 않으면서도, 구체적인 현실성에 끊임없이 접근하고 있는 시각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목차
<서론> 분단과 통일에 대한 새로운 접근: ‘결손국가’론
1. 전근대의 ‘ethnie’와 근대의 ‘nation’
2. 세계체계의 하위체계로서의 동아시아 지역
3. 남북한: 두 개의 국민을 갖는 ‘결손국가’
4. 결손국가에서 민족국가로
제1부 남북한 통일 정책의 역사와 특징
제1장 남한 통일정책의 역사와 특징: 이승만 정권에서 김대중 정권까지
1. 남한 통일정책의 전개과정과 평가
2. 남한 통일정책의 특징
3. 나가는 글: 새로운 통일환경의 도래
제2장 북한 통일정책의 역사와 특징: 연방제 방안의 변천
1. 북한 통일정책의 전개과정과 평가
2. 북한 통일정책의 특징
3. 나가는 글: 북한의 변화와 통일정책
제2부 통일한국의 이념과 체제
제1장 결손국가로서의 남북한
1. 남북한의 발전과정
2. 민족통일의 합의모형
제2장 사회민주주의와 시장사회주의
1. 자본주의의 수정: 사회민주주의의 추구
2. 사회주의의 위기: 시장사회주의의 실험
제3장 통일모형으로서 민주사회주의
1. 민주사회주의의 내용
2. 남북한의 수렴 모델로서의 민주사회주의
3. 나가는 글
제3부 남북한의 위기와 변화
제1장 남한 사회의 위기와 구조 변동: IMF와 경제 사회의 변화
1. 들어가며
2. IMF 신자유주의 구조조정의 성격
3. 한국의 금융, 기업, 노동, 공공 부문의 구조조정: 경과와 현황
4. 구조조정의 문제점
5. 나가며
제2장 북한 발전전략의 변화: 새로운 조치와 개혁·개방
1. 들어가며
2. 북한의 개혁 - 역사와 현재
3. 체제내 개혁: ‘개건’과 ‘개선’
4. 체제의 개혁: 시장의 도입과 제도화
5. 시장의 도입과 분권화의 강화: 북한식 시장 사회주의의 길
6. 나가는 글: 개혁과 전환의 갈림길
제4부 남북통합의 조건과 사회문화적 접근
제1장 남남갈등과 사회통합의 과제
1. 정상회담 이후의 남남갈등의 현실
2. 동서갈등의 현주소: 지역감정과 지역대립
3. 남북통일을 위한 사회통합의 과제
4. 나가는 글
제2장 남북통합에 대한 사회문화적 접근
1. 통일과 통합에 대한 사회문화적 접근
2. 사회문화 교류의 현황과 남북한의 이질성/동질성
3. 바람직한 사회문화적 통합 모델의 모색
4. 나가는 글
<결론> 시나리오로 본 남북통일의 전망: 방안과 모색
1. 역사적으로 본 통일유형
2. 예상되는 남북통일의 시나리오
3. 바람직한 남북통일의 방안
4. 나가는 글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