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교양도서이화학술총서

인간은 왜 춤을 추는가: 인류의 춤 문화 코드 읽기

서명/저자사항
인간은 왜 춤을 추는가: 인류의 춤 문화 코드 읽기/ 신상미 지음
개인저자
신상미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3
형태사항
493 p. : 삽화, 사진 ; 23 cm
총서사항
이화학술총서
ISBN
9788973009954
주기사항
이 저서는 2010년 정보(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0-812-G00026) 참고문헌(p. 474-484) 및 색인(p. 485-493) 수록
주제어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M043222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M04322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춤은 인류의 삶과 생각을 몸의 움직임을 통해서 비언어적으로 표현하고 소통하게 해주는 유일무이한 문화이자 예술이다. 이러한 춤은 세계의 다양한 문화와의 관계 맺기를 통해서 계속 변화하고 새롭게 창조되고 있다. 최근 들어 춤 문화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면서 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고, 이것은 각 나라와 민족의 독특성과 정체성을 이해하고 그들과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발판이 되고 있다.
이 책은 인류학적 관점에서 문화로서의 ‘춤’에 대해 다루고 있는 연구서로서, 인간의 삶 속에 녹아 있는 춤의 문화적 코드를 어떻게 읽고 해석할 수 있는지에 관해 풍부한 사진 자료를 곁들여서 재미있게 풀어내고 있다. 세계 각국의 유서 깊은 전통과 색다른 문화적 특성을 지닌 춤들을 열린 시각으로 바라봄으로써 춤 텍스트에 코드화되어 있는 상징과 이미지를 분석해내는 능력을 키우고, 인류의 삶에 큰 영향을 주고 있는 춤의 진정한 의미와 힘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보게 하는 책이다. 외부의 침략을 막아내고 위협적으로 저항하기 위해 추었다는 페루의 <가위춤> , 루이 14세가 자신의 절대 권력을 강조하기 위해 금빛의 찬란한 의상을 입고 태양신 아폴로 역을 맡아서 추었던 <밤의 발레> , 절도 있는 몸짓과 리듬으로 지역 공동체의 친선과 단결을 도모하기 위해 활용되었던 인도네시아의 <사만춤> , 종교 의식에 장엄함을 더하고 신앙심을 고취시키기 위해 추었던 <바라춤> 등 흥미로운 예들이 소개되고 있다. 이렇게 전 세계의 다채로운 춤 문화를 두루 살펴봄으로써 좀 더 풍요로운 삶을 영위하고 낯선 문화를 친근하게 접해보는 짜릿함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저자의 집필 의도 중의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인간이 왜 춤을 추는가, 춤이 인간의 삶에 어떤 영향력을 발휘하는가, 무슨 이유로 인간은 사회 속에서 춤으로 소통을 시도하는가 등의 물음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이와 더불어 춤에서 가장 핵심적인 매체가 되는 인간의 몸과 움직임이 사회를 어떻게 풍자하고 있는지, 한 사회의 민족적 정체성을 어떤 식으로 드러내고 있는지, 그리고 그것은 세계인들의 삶 속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를 고찰하고 있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서 동서양의 춤을 바탕으로 각양각색의 문화를 경험하고 서로 다른 민족 예술의 특징과 문화적 뿌리를 이해하는 안목을 키울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른 학문과 문화 예술 간의 깊이 있는 교류를 시도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책 내용]

문화 연구에 기반하여 ‘춤’에 대해 분석하고 있는 이 책은 총 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 ‘춤과 인간’에서는 인간의 춤과 문화 그리고 사회의 상호 관계를 중심으로 인간의 춤과 삶이 어떤 방식으로 관계를 맺으며 창조되었는지 알아보고, 최초의 인간의 춤과 삶의 모습을 보여주는 신화와 인류 역사 속에 나타나고 있는 춤을 분석했다.
제2장 ‘인류학과 춤 문화 코드’에서는 인류학자들이 어떤 관점을 가지고 춤을 연구하고 해석했는지를 분석하고, 춤 인류학의 가장 핵심적인 주제인 인간, 사회, 문화를 중심으로 사회 속에서 인간의 삶만큼이나 역동적으로 변화해온 춤 문화에 대한 다양한 연구 사례를 살펴보았다. 또한 춤 속에 여러 가지 형태의 암호로 저장된 상징과 이미지라 할 수 있는 춤의 문화 코드를 읽기 위해, 춤의 외형적 구조인 텍스트와 춤의 전후 맥락을 살펴보는 콘텍스트에 저장된 암호의 분류 체계를 소개했다.
제3장 ‘인류의 춤 문화 코드 읽기’에서는 춤의 문화적 코드를 읽어내기 위한 개념들을 탐구하고 실제로 다양한 춤을 대상으로 문화 코드를 분석했다. 구체적으로는 신화와 제의, 사상과 종교, 민속과 놀이, 전통과 문화유산, 정치와 사회, 젠더와 성, 예술과 상징 등으로 주제를 나누어 각 문화의 요소에 내재되어 있는 예술 코드, 움직임 코드, 몸 코드 등을 분석하고 있다.
제4장 ‘춤의 의미와 힘’에서는 제3장에서 다룬 춤 문화 코드 읽기의 결과를 바탕으로 춤이 사회 속의 문화로서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를 논의했다. 그리고 춤의 진정한 의미와 힘에 대한 논의를 뒷받침하기 위해 인간은 왜 춤을 추는가에 대한 저자의 의견을 제시했다.
목차

서문
제1장 춤과 인간

1. 인간의 춤과 자연의 춤
2. 인간의 춤과 삶
1) 동서양 신화로 본 춤과 삶
2) 동서양 역사로 본 춤과 사회
3. 춤의 본질
1) 몸, 마음, 정신의 합일체
2) 내적 충동이 근원이 되는 몸의 움직임
3) 역동적 이미지
4) 의사소통의 수단
5) 인류 문화의 한 요소

제2장 인류학과 춤 문화 코드

1. 춤 인류학의 관점과 방법
1) 인류학적 관점
2) 인류학적 방법
2. 춤 인류학의 핵심 주제 및 연구 사례
1) 춤 인류학의 핵심 주제
2) 춤 인류학의 연구 사례
3. 춤 문화 코드 읽기 방법
1) 춤 문화 코드 분류 체계
2) 춤 문화 코드 읽기 방법

제3장 인류의 춤 문화 코드 읽기

1. 춤 문화 코드 읽기를 위한 개념 탐구
1) 종족과 민족
2) 민족 문화와 전통
3) 예술 문화와 상징
4) 대중문화와 소비
2. 인류의 춤 문화 코드 읽기
1) 신화와 제의
2) 사상과 종교
3) 민속과 놀이
4) 전통과 문화유산
5) 정치와 사회
6) 젠더와 성
7) 예술과 상징
8) 시뮬라크르와 소비: 미디어 속의 춤 이미지

제4장 춤의 의미와 힘

1. 춤의 의미
1) 본능 표출과 카타르시스의 경험
2) 민족과 사회 문화의 표현
2. 춤의 힘
1) 즉시적 현장성과 다중적 감각성
2) 문화적 상징성과 사회적 소통성
3. 인간은 왜 춤을 추는가?
1) 춤을 추는 이유

사진 출처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