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44453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M04445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이 책은 ‘사회복지’와 ‘북한학’의 양면적 체험이라는 입장에서 북한의 사회복지를 입체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균형적 시각을 가지고 있다. 이 책에서는 남북한의 사회보장정책을 제도적, 계량적 측면에서 단순 비교하지 않고, 작동원리와 운영체계 등 이념적 고찰을 시도하였고, 또한 통일한국의 통합 사회보장정책에 대비하여 통합의 장애요인과 촉진요인을 추출하는데 집중하였다.
남북한 사회보장정책은 상이한 체제와 오랜 분단의 지속으로 인한 정책 및 제도 자체의 이질감으로 통합을 저해하는 ‘장애’요소들이 상존하고 있지만, 또한 그와 함께 보편성, 민족성, 평등성과 같은 상대적 가치들도 여전히 통합의 촉진요인으로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선행 통일정책으로서 사회보장정책이 통합 지향적인 본래의 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정권의 성향과는 상관없이 정치. 경제분야의 교류 논리와는 분리하여 사회보장정책의 지속적인 교류 협력사업의 추진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남북한 사회보장정책은 상이한 체제와 오랜 분단의 지속으로 인한 정책 및 제도 자체의 이질감으로 통합을 저해하는 ‘장애’요소들이 상존하고 있지만, 또한 그와 함께 보편성, 민족성, 평등성과 같은 상대적 가치들도 여전히 통합의 촉진요인으로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선행 통일정책으로서 사회보장정책이 통합 지향적인 본래의 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정권의 성향과는 상관없이 정치. 경제분야의 교류 논리와는 분리하여 사회보장정책의 지속적인 교류 협력사업의 추진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목차
머리말
제1장 들어가며
1. 연구 목적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제2장 남북한 사회보장정책의 개념과 변천동인
1. 남북한의 사회보장정책 개념
2. 남북한 사회보장정책의 변천 동인
3. 선행연구 및 분석모형
제3장 남한 사회보장정책의 체계와 특성
1. 남한 사회보장정책의 이념과 작동원리
2. 남한 사회보장정책의 운영체계
3. 남한 사회보장정책의 전개과정
4. 남한의 사회보장정책
5. 남한 사회보장정책의 특성과 쟁점
제4장 북한 사회보장정책의 체계와 특성
1. 북한 사회보장정책의 이념과 작동원리
2. 북한 사회보장정책의 운영체계
3. 북한 사회보장정책의 전개과정
4. 북한의 사회보장정책
5. 북한 사회보장정책의 특성과 쟁점
제5장 남북한 사회보장정책의 비교와 평가
1. 이념 및 작동원리 비교
2. 운영체계 비교
3, 사회보장정책별 현황 비교
4. 남북한 사회보장정책 평가
제6장 남북한 사회보장정책 통합의 접근 방향
1. 통합의 촉진요인과 장애 요인
2. 통합 사회보장정책의 유형과 접근 방향
제7장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