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

북한자료의 수집과 활용

서명/저자사항
북한자료의 수집과 활용/ 송승섭 지음
개인저자
송승섭
발행사항
파주 : 한국학술정보, 2011.
형태사항
439 p. : 일부채색삽도 ; 24 cm.
ISBN
9788926827734
주기사항
부록 : 1. 북한의 분야별 잡지 현황, 2. 김정일 노작 일람표, 3. 북한의 출판사 현황. 외. 색인: p. 436-439 서지적 각주 수록. 참고문헌 : p. 315-322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M044456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M04445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저자 송승섭은 강산이 두 번 바뀐 세월 동안 ‘북한자료센터’의 사서로 자리를 지켰다. 북한자료센터는 1989년 5월 22일 서울 한복판 광화문 사거리에 있는 광화문우체국 건물 6층에 7만여 권의 장서를 보유하고 자리를 잡았다. 일반 시민 누구나 쉽게 자료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교통이 편리한 곳에 위치한 것이다. 1990년 3월부터는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오후 2시에 북한영화 한 편씩을 상영했다. 당시 80명 수용 가능한 시청각실에 800여 명이 몰려들어 1층 로비뿐만 아니라 대로변까지 줄을 섰었다. 물론 지금은 그렇지 않다. 그 당시에는 워낙 남북관계가 막혀 있다 보니 영화를 통해서나마 북한을 보고 싶은 실향민이 많았고, 북한을 가까이할 수 없었던 만큼 관심도 컸다. 이때만 해도 자료 공개는 하지만 초기 단계라 대단히 제한적이었다. 국가정보원이 마련한 「특수자료취급지침」에 의해 신분과 이용 목적을 확인받은 후에 지정된 장소에서 열람만 할 수 있었다. 당시에는 ‘특수자료취급인가증’이라는 것이 있어서 이 인가증을 소지한 사람만이 복사나 대출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던 것이 1998년 김대중 정부 100대 국정과제의 하나로 ‘북한자료의 공개 및 공급확대’ 정책이 시행되고, 2003년 7월에는 「특수자료취급지침」이 일부 개정되면서 이용절차가 상당 부분 개선되었다. ‘특수자료취급인가증’ 제도가 폐지되고, 비이념성 자료는 북한 자료라 하더라도 국내의 일반자료처럼 취급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를 계기로 북한자료에 대한 접근성과 편의성을 좀 더 높일 수 있게 되었다.

저자는 이 책에서 이데올로기 측면의 북한 자료에 대해서 논하지 않았다. 다만, 현장을 지킨 사서로서 많이 개방되기는 했지만 아직도 접근하기엔 불편한 감이 없지 않은 북한 자료들을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조금이나마 더 친근하고 쉽게 접할 수 없는 방법은 없을까? 하는 고민에서 글을 쓰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전체적인 북한 자료의 현황을 종류별로 정리하여 그 대강을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했고, 국내외 여러 기관에 소장되어 있는 북한 관련 자료를 소개함으로써 연구자들의 북한자료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자 했다. 북한자료를 수집하고 있는 도서관과 여러 형태의 「특수자료취급기관? 관계자를 위해서는 다양한 자료수집 경로를 살펴보고, 관련 규정을 분석하여 제공하였다. 또한 북한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북한자료 이용의 활성화를 위한 국가적 모델을 제안하기도 하였다. 끝으로 민족통일의 실현과정에서 북한 자료를 포함하는 통일 사료의 의의를 정의하고 그 실현방안을 통일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또, 북한을 연구하기 위한 참고정보원으로 북한의 분야별 잡지 현황, 김정일 노작 일람표, 북한의 출판사 현황, 북한의 분야별 연구소 및 유관기관 현황, 북한의 대학 현황 등을 부록으로 소개하였는데, 어쩌면 이 자료들이 본문 이상의 가치를 가질 수 있을 만큼 중요한 내용을 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축적된 통일 사료들은 당대의 이용뿐만 아니라 후대에 전해져 역사적 평가를 받게 될 것이다. 이곳의 북한 자료들이 북한의 죽은 역사로 남아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민족의 희망과 미래를 보여주는 살아 숨 쉬는 자료들로 널리 이용되기를 소망한다.
목차

머리글
일러두기

제1장 북한의 출판물 현황과 특징

1. 들어가는 글
2. 북한발행 신문 현황 및 특징
2.1. 북한의 주요 신문 현황
2.2. 북한 신문의 특징
3. 북한의 잡지 현황 및 특징
3.1. 북한의 과학기술정보 잡지와 통보기관
3.2. 북한의 분야별 잡지 현황
3.3. 북한의 학술지 간행 동향 분석
4. 김일성ㆍ김정일 로작 및 주요 자료 현황
4.1. 김일성 로작집
4.2. 김정일 로작집
4.3. 기타 북한의 주요 자료들
5. 북한의 비도서 및 디지털 자료 현황과 특징
5.1. 북한의 영상자료
5.2. 북한의 e-Book과 CD롬 자료
5.3. 북한 신문의 메일링 서비스 및 웹 데이터베이스
6. 북한의 출판기관 현황과 특징
6.1. 북한의 출판사업
6.2. 북한의 주요 출판사
7. 주요 내용 정리 및 시사점

제2장 북한 관련 자료의 수집

1. 들어가는 글
2. 북한자료와 특수자료 관련 규정
2.1. 북한자료와 특수자료
2.2. 전국의 특수자료취급기관 현황
2.3. 특수자료취급지침의 변화과정과 그 의미
2.4. 특수자료의 취급과 관리 규정의 적용
3. 북한자료의 구입경로와 취급기관
3.1. 국내 북한자료 대행업체
3.2. 국외 북한자료 전문업체
4. 국내 주요 기관의 해외 북한자료 수집 실태
4.1. 북한 관련 국내외 주요 간행물
4.2. 국내 주요 기관의 북한 관련 국내외 자료 수집실태
4.3. 주요 국가의 북한자료 소장 실태
5. 주요 내용 정리 및 시사점

제3장 북한자료의 분류체계와 활용

1. 들어가는 글
2. 북한 도서관의 자료조직과 장서 구성
2.1. 분류 체계
2.2. 장서 구성
3. 북한의 학문 분류체계
4. 북한 관련 주제별 자료와 활용
4.1. 북한 관련 통계
4.2. 북한의 철학 분야
4.3. 북한의 어문학 분야
4.4. 북한의 법학 분야
4.5. 북한의 군사학 분야
4.6. 북한의 경제ㆍ경영학 분야
4.7. 북한 관련 자료 종합
5. 북한의 인터넷 사이트
5.1. 북한 운영 사이트 소개 및 평가
5.2. 북한 및 통일 관련 국내외 사이트
6. 북한자료의 저작권 문제

제4장 북한자료의 이용확대를 위한 개선방안

1. 들어가는 글
2. 북한자료 이용과 관리에 관한 선행 연구
3. 특수자료 보유현황 및 활용실적 분석
3.1. 특수자료 보유현황 분석
3.2. 특수자료 활용실적 분석
4. 특수자료 이용 활성화를 위한 문제점 개선과 협력모형
4.1. 특수자료 이용과 관리의 문제점
4.2. 특수자료의 이용 활성화 방안
4.3. 특수자료취급기관 협의회의 구상과 협력모형 구축
5. 시사점 정리 및 제안

제5장 ‘統一史料’의 수집과 관리

1. 들어가는 글
2. 통일사료의 의의와 연구동향
2.1. 용어의 정의
2.2. 국가기록물 관련 연구 동향
3. 통일사료의 수집과 추진현황
3.1. 통일사료 수집의 의의와 대상자료 선정
3.2. 통일부의 ‘통일사료’ 업무 추진현황
4. 통일사료 수집과 관리의 문제점 및 대책
4.1. 관련법의 미비
4.2. 통일사료 수집 대상의 제한성
4.3. 통일사료 관련 전담기관의 부재
4.4. 북한자료의 도난ㆍ훼손문제
4.5. ‘통일사료’ 관련 전문가의 부재
4.6. ‘통일사료’의 전산화 방향
5. 통일사료 수집과 관리의 발전 모형

참고문헌

부록 1. 북한의 분야별 잡지 현황
부록 2. 김정일 노작 일람표
부록 3. 북한의 출판사 현황
부록 4. 북한의 분야별 연구소 및 유관기관 현황
부록 5. 북한의 대학 현황
부록 6. 전국 대학 통일문제연구소 현황
부록 7. 남북 회담일지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