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46618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M04661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지역복지의 실천적 관점에 정보화사회의 사회변화를 반영하는 포괄성을 함축하여 지역복지를 재개념화하려고 노력하였으며, 지역복지를 지역성을 강조한 사회복지의 한 분야로 인식하기보다는 커뮤니티의 기능적 측면을 포함하는 의미를 강조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이번 개정 3판에서는 지난 8년간 지역복지현장에서 일어난 변화에 조응하여, 본래의 정신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실천현장과 관련된 최근 자료들을 업데이트하였다.
목차
개정3판 머리말 5
머리말 7
제1부 지역사회복지 개관
제1장 지역사회복지와 지역복지실천의 의미 19
1. 지역사회와 지역복지실천의 의미 20
2. 지역사회에 대한 정의 23
3. 지역사회의 중요성 28
4. 지역복지와 지역복지실천의 의미 30
5. 지역복지실천의 활동방향 35
6. 지역복지실천 활동범주 38
7. 효과적 지역복지실천을 위한 선행조건 41
제2장 지역사회에 관한 이론 47
1. 사회체계 이론 48
2. 생태학적 이론 54
3. 지역사회 엘리트 지배 이론과 다원주의 이론 59
4. 갈등 이론 64
제3장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69
1. 미국 지역사회조직의 역사 69
2. 영국의 지역복지사업 86
3. 일본의 지역복지사업 106
4. 한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115
제2부 지역사회복지실천과 과정
제4장 지역사회복지실천모형 135
1. 지역복지실천모형의 발달 역사 136
2. 로스만의 지역복지실천 세 가지 기본모형과 세 가지 변용모형 149
3. 테일러와 로버츠의 다섯 가지 모형 163
4. 웨일과 갬블의 여덟 가지 모형 174
제5장 지역사회복지실천과정 187
1. 첫 번째 단계: 변화기회 확인 190
2. 두 번째 단계: 변화기회 분석 195
3. 세 번째 단계: 목적과 목표의 설정 204
4. 네 번째 단계: 변화노력의 설계와 구조화 211
5. 다섯 번째 단계: 자원계획 219
6. 여섯 번째 단계: 변화실행 227
7. 일곱 번째 단계: 변화노력 점검하기 232
8. 여덟 번째 단계: 평가 236
9. 아홉 번째 단계: 재사정과 변화상황 안정화 242
제3부 지역사회복지실천기술
제6장 지역사회문제분석 및 욕구사정 249
1. 지역사회문제분석 249
2. 욕구사정 255
제7장 프로그램 개발 273
1.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273
2. 프로그램 구성요소 274
3. 프로그램 개발과정 278
제8장 모금과 자원개발 285
1. 민간자원 동원의 필요성 285
2. 사회복지 자원과 기금원의 특성 287
3. 사회복지기관의 모금행태와 관련법규 289
4. 기부문화의 대전환 요구 291
5. 사회복지기관의 대응전략 294
6. 사회복지기관의 재원확보 전략 301
제9장 사회복지기관의 홍보 309
1. 홍보 개념 310
2. 홍보 모델 311
3. 홍보의 기술적 과정 314
4. 사회복지기관과 홍보 319
5. 홍보방법 및 매체 325
6. 사회복지기관 홍보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335
제10장 임파워먼트 337
1. 임파워먼트와 지역복지실천 338
2. 임파워먼트의 정의 339
3. 임파워먼트의 특성 342
4. 임파워먼트의 차원 344
5. 임파워먼트 접근방법의 과정단계 346
6. 임파워먼트 접근방법의 실천원칙 348
7. 임파워먼트의 결과 352
8. 임파워먼트 적용: 청소년 복지 적용의 예 354
제11장 네트워크와 네트워킹 및 서비스 통합 361
1. 지역복지실천과 네트워크 및 네트워킹 361
2. 지역복지실천과 서비스 통합 369
제12장 옹호 375
1. 옹호와 지역복지실천 375
2. 옹호의 정의 378
3. 옹호의 실천조건 385
4. 옹호의 실천전술 386
5. 옹호의 개입형태 394
제4부 지역사회복지 실제
제13장 지역사회복지관 403
1. 지역사회복지관의 정의와 기능 403
2. 지역사회복지관의 설치배경과 발전과정 411
3. 사회복지관 설치현황 413
4. 사회복지관의 사업대상과 사업내용 415
5. 지역사회복지관의 발전방향 및 과제 424
제14장 사회복지협의회 429
1. 사회복지협의회의 개념과 성격 429
2. 사회복지협의회의 역사 433
3. 사회복지협의회의 원칙 434
4. 사회복지협의회의 기능과 역할 436
5. 한국사회복지협의회 439
6.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발전방안 450
제15장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지역사회복지계획 453
1.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추진배경 및 목적 453
2. 지역사회복지협의체 개요 458
3. 지역사회복지계획 468
제16장 사회복지공동모금회 471
1. 공동모금회의 개념 및 의의 471
2. 공동모금회 설립취지와 운용목적 473
3. 공동모금제도의 이념 및 특성 474
4. 공동모금의 사회적 기능 474
5. 공동모금제도의 조직구조 477
6. 공동모금제의 모금방법과 배분방법 481
7. 우리나라의 사회복지공동모금회 484
제17장 자원봉사센터 487
1. 자원봉사의 개념과 의의 487
2. 자원봉사의 역사 493
3. 자원봉사 현황 496
4. 자원봉사센터 499
5. 자원봉사활동 진흥법 514
참고문헌 519
찾아보기 535
저자약력 5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