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냉전분단시대 한반도의 역사 읽기: 분단국가의 수립과 국제관계(1)
- 서명/저자사항
- 냉전분단시대 한반도의 역사 읽기: 분단국가의 수립과 국제관계(1)/ 허은 [편]
- 발행사항
- 서울: 선인, 2015
- 형태사항
- 574 p. : 삽화 ; 23 cm
- ISBN
- 9788959339136
- 주기사항
- 부록: 외교 연표(1945년~1954년 주요 한반도/국제관계 연표) 색인: p. 565-574 필자: 이정은, 예대열, 이주봉, 이주호, 정유진, 김진혁, 금보운, 임광순, 서홍석 서지적 각주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46081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M04608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탈냉전시대, 기존의 가치관과 국제질서가 붕괴하고 한반도를 둘러싼 동아시아 질서의 변화가 모색되는 지금, 탈냉전 세대가 여전히 냉전분단시대의 역사인식 틀에 갇힌다면 21세기 동아시아 평화공동체 형성을 주도하기는 어렵다. 오히려 반민주적 국가주의를 명분 삼아 동북아 패권을 추구하는 세력들의 이해추구에 동원되거나 희생양이 될 가능성이 있다. 냉전분단시대를 경험한 역사학자에게 탈냉전 세대가 한반도의 ‘분단과 전쟁상태의 영속화’에 복무하거나 희생양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만큼 중요한 의무는 없다. (여는 말 中)
목차
1부 한반도 해방과 분단정부의 수립
01_ 한반도 문제의 국제적 해결 방안 : 모스크바 3상회의 결정안
02_ 한반도 문제의 유엔이관과 분단의 고정화 : ‘유엔결의안’
03_ 단선·단정 반대를 위한 남북 지도자 간 협상 : 남북조선제정당사회단체 공동성명서
04_ 외국군 철수와 군사고문단의 활동 : ‘군사고문단 설치협정’
2부 냉전진영의 형성과 한반도의 분단 확대
01_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행정권 이양: ‘한미 간 행정권 이양협정’
02_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과 북·소 관계의 공식화: ‘조소경제문화협정’
03_ 한일 무역관계의 재개 : ‘통상협정’과 ‘재정협정’
04_ 미국 중심 경제질서로의 편입 : ‘한미 원조협정’
3부 동아시아의 열전과 냉전, 한반도의 전쟁
01_ 유엔의 전쟁 개입과 동아시아 국제전으로의 승화
02_ ‘유엔군사령부’의 설치와 한국군의 작전지휘권 이양
03_ 중국인민지원군의 참전과 조중연합사령부 설치
04_ 사회주의 진영의 북한 지원과 원조 제공
05_ 유엔의 남한 원조와 전시 원조 기구
4부 전후처리 문제와 냉전분단의 고착화
01_ 전후 ‘원조경제’의 초석 : ‘마이어 협정’
02_ 적대적 대립의 지속 : ‘정전협정’
03_ 한미 군사 동맹의 제도화 : ‘한미상호방위조약’
04_ 냉전분단 질서의 재확인 : ‘제네바 정치회담’
원 문
01_ 1부 「한반도 해방과 분단정부의 수립」 관련 원문
02_ 2부 「냉전진영의 형성과 한반도의 분단 확대」 관련 원문
03_ 3부 「동아시아의 열전과 냉전, 한반도의 전쟁」 관련 원문
04_ 4부 「전후처리 문제와 냉전분단의 고착화」 관련 원문
부록 | 외교 연표
1945년~1954년 주요 한반도/국제관계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