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46669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M04666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이 책은 통계분석 소프트웨어 중 하나인 Stata를 활용하여 사회과학 자료를 분석하는 입문서이다. 그동안 통계학, 계량경제학, 사회학 등의 분야에서 많은 통계분석 교재가 출간되었다. 저자들은 사회학, 경찰학, 범죄학을 전공하는 학부생과 대학원생들에게 자료분석 방법을 강의하면서 다양한 교재들을 활용하였다. 그러나 학생들의 입장에서는 대부분의 교재들이 자료를 분석하여 학술적인 논문을 체계적으로 작성하는 데 있어 친절한 교재가 부족하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이 책은 최근 경제학 전공자뿐만 아니라 심리학, 의학, 사회학 등의 폭넓은 분야에서 이용자가 급증하고 있는 Stata의 이용방법과 분석방법을 상세히 소개하였다. Stata의 특징은 자료의 구축부터 분석, 결과표의 제시까지 일련의 분석과정이 매우 편리하다는 점이다. 이 책은 Stata 프로그램에 익숙하지 않은 독자들을 위해 명령어 위주의 분석과정과 함께 윈도우상의 화면에서 클릭을 통한 분석과정도 함께 자세히 소개하였다. 따라서 Stata 명령어를 잘 모른다 하더라도 학술적인 논문을 작성하는 데 큰 어려움이 없도록 기술되었다.
이 책은 기존 자료분석 교재들과 다른 특징들이 있다. 먼저 이 책은 기존 교재들에서 소홀히 다루고 있는 자료의 예비분석이 하나의 장으로 분리되어 기술되었다. 통계분석에서 기본가정은 매우 중요한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통계분석을 실행할 경우 기본가정을 무시하는 경우가 많다. 통계기법마다 다양하고 서로 다른 가정을 요구하지만 다변량분석을 적용할 경우 분석 전 공통적으로 고려해야 할 부분이 있다. 이 책에서는 이 부분을 예비분석으로 분리하여 설명하였다.
이 책의 또 다른 특징은 독자들이 간과하기 쉬운 통계분석별 기본가정을 확인하도록유도하고 있다는 점이다. 통계분석방법이 요구하는 기본가정이 충족되지 않았음에도 분석을 진행하는 실수를 사전에 차단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술논문 작성과정에 따라 가설의 설정, 모델의 평가, 분석결과의 해석 등의 순서대로 사례를 통해 기술되었다. 독자는 이 책의 기술된 순서대로 분석과정을 따른다면 원하는 분석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이 책의 기획부터 최종 작업까지 대표저자와 고민을 같이 해 준 공동저자 선생님들께 머리 숙여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다. 특히 자료의 정리부터 오탈자 확인까지 수고스러운 일들을 불평 없이 묵묵히 따라준 동국대학교 경찰행정학과 석사과정의 이승현 군에게 고마움을 표한다. 마지막으로 원고작업이 지연되었음에도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려 주신 피앤씨미디어 박노일 사장님과 편집에 도움을 주신 심성보 이사님의 노고에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2014년 8월
대표저자 이창한
이 책은 최근 경제학 전공자뿐만 아니라 심리학, 의학, 사회학 등의 폭넓은 분야에서 이용자가 급증하고 있는 Stata의 이용방법과 분석방법을 상세히 소개하였다. Stata의 특징은 자료의 구축부터 분석, 결과표의 제시까지 일련의 분석과정이 매우 편리하다는 점이다. 이 책은 Stata 프로그램에 익숙하지 않은 독자들을 위해 명령어 위주의 분석과정과 함께 윈도우상의 화면에서 클릭을 통한 분석과정도 함께 자세히 소개하였다. 따라서 Stata 명령어를 잘 모른다 하더라도 학술적인 논문을 작성하는 데 큰 어려움이 없도록 기술되었다.
이 책은 기존 자료분석 교재들과 다른 특징들이 있다. 먼저 이 책은 기존 교재들에서 소홀히 다루고 있는 자료의 예비분석이 하나의 장으로 분리되어 기술되었다. 통계분석에서 기본가정은 매우 중요한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통계분석을 실행할 경우 기본가정을 무시하는 경우가 많다. 통계기법마다 다양하고 서로 다른 가정을 요구하지만 다변량분석을 적용할 경우 분석 전 공통적으로 고려해야 할 부분이 있다. 이 책에서는 이 부분을 예비분석으로 분리하여 설명하였다.
이 책의 또 다른 특징은 독자들이 간과하기 쉬운 통계분석별 기본가정을 확인하도록유도하고 있다는 점이다. 통계분석방법이 요구하는 기본가정이 충족되지 않았음에도 분석을 진행하는 실수를 사전에 차단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술논문 작성과정에 따라 가설의 설정, 모델의 평가, 분석결과의 해석 등의 순서대로 사례를 통해 기술되었다. 독자는 이 책의 기술된 순서대로 분석과정을 따른다면 원하는 분석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이 책의 기획부터 최종 작업까지 대표저자와 고민을 같이 해 준 공동저자 선생님들께 머리 숙여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다. 특히 자료의 정리부터 오탈자 확인까지 수고스러운 일들을 불평 없이 묵묵히 따라준 동국대학교 경찰행정학과 석사과정의 이승현 군에게 고마움을 표한다. 마지막으로 원고작업이 지연되었음에도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려 주신 피앤씨미디어 박노일 사장님과 편집에 도움을 주신 심성보 이사님의 노고에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2014년 8월
대표저자 이창한
목차
CHAPTER 1 Stata 기초
CHAPTER 2 조사방법론
CHAPTER 3 예비분석
CHAPTER 4 기초통계
CHAPTER 5 탐색적 요인분석
CHAPTER 6 회귀분석
CHAPTER 7 논문 작성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