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한 중국인을 통해 본 한국적 다문화주의 전개: 구 화교, 신 화교, 조선족을 중심으로
- 서명/저자사항
- 재한 중국인을 통해 본 한국적 다문화주의 전개: 구 화교, 신 화교, 조선족을 중심으로/ 김일권 지음
- 개인저자
- 김일권
- 발행사항
- 서울 : 박문사, 2016
- 형태사항
- 260 p. : 도표 ; 23 cm
- ISBN
- 9788998468668
- 주기사항
- 참고문헌: p. 249-260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46296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M04629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선행 연구 검토
1) 한국의 다문화 관련 선행 연구
2) 재한 화교 관련 선행 연구
3 연구 방법 및 논문 구성
<제2장> 디아스포라와 다문화주의
1 행위자로서의 디아스포라
1) 디아스포라의 정의
2) 디아스포라 사회/문화적응 이론
2 다문화주의 및 다문화 정책
1) 다문화와 다문화주의
2) 정책으로서의 다문화주의
3 디아스포라와 다문화주의
<제3장> 한국의 다문화 사회 형성과 다문화 정책
1 한국의 다문화 사회 형성
1) 인구학적 다문화 사회 형성
2) 다문화주의 담론의 형성
2 한국 다문화 정책 및 내용 분석
1) 다문화 정책의 형성
2) 정책 대상과 내용
3 다문화 정책 관련 법규 및 기본 계획
1) 재한 외국인 처우 기본법
2) 다문화 가족 지원법
3) <국적법> 개정
4) 제1차 외국인 정책 기본 계획(2008~2012)
4 한국 다문화 정책의 특징
<제4장> 재한 중국인의 역사적 특징과 체류 현황
1 중국인 디아스포라 - 화교
1) 화교의 정의
2) 화교의 이주 시기 및 세계적 분포
2 화교의 한반도 이주 및 정착
1) 한국 화교의 형성
2) 한국 화교의 이주 및 정착
3) 한국 구 화교 인구 변화 추이
3 신 화교의 유입과 화교 사회의 새로운 변화
1) 신 화교/화인의 형성과 특징
2) 한국 신 화교의 형성 및 정착
3) 신 화교 집단의 주체 - 조선족
4 한국 화교의 특징
<제5장> 다문화주의적 관점에서 본 화교 정책
1 한국의 對 화교 정책 변천 과정
1)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차별과 배제
2) 1990년대 이후 차별과 배제 정책 완화
3) 화교 정책의 차별과 배제 완화 요인
2 차별과 배제 속 구 화교들의 현지화 적응
1) 대한민국 정부 수립 ~ 1990년대까지
2) 1990년대 냉전 해체 이후
3 재한 중국인에 대한 정책적 포섭과 배제
1) 정책 배제 대상으로서의 구 화교
2) 포섭과 배제 대상으로서의 신 화교
4 재한 중국인을 통해 본 한국 다문화 정책의 시사점
<제6장>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