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

사회과학 혼합연구방법의 이론과 실제

서명/저자사항
사회과학 혼합연구방법의 이론과 실제/ Jennifer C. Greene 지음 ; 이진희, 이병호, 윤은주 옮김
발행사항
서울 시그마프레스, 2011
형태사항
263 p. ; 24 cm
ISBN
9788958329640
주기사항
색인: p. 261-263 참고문헌: p. 251-260
원서명
Mixed methods in social inquiry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M042862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M04286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이 책은 통합적 연구방법론을 이론적으로 체계화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저자는 혼합연구방법에 대한 다양한 사고양식들을 통합하여 하나의 종합적이고 의미 있는 체계로 정교하게 엮어냈다. 상세한 예시를 통해 연구방법론을 배우는 학생이나 연구방법론을 실천하고 있는 연구자 모두가 혼합연구를 실시하는 데 얽혀 있는 세부 내용과 복합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또한 혼합연구방법에 대한 다양한 관점들을 비교하고 대조하고 연계하여 혼합연구방법에 익숙한 학자들에게도 매우 적절하고 큰 도움이 된다.”
목차

제1부 사회과학 혼합연구방법의 이론 : 패러다임과 패러독스 1

제1장 정신모형과 혼합연구방법 3
집단 토의 6
이러한 대화 이해하기 : 정신모형 개념 12
정신모형의 혼합으로서의 혼합연구방법 15
책으로의 초대 16
이 책으로 초대된 사람들 19

제2장 혼합연구방법의 사고양식 받아들이기 21
혼합연구방법의 사고양식 25
이어지는 내용 소개 38

제3장 혼합연구방법에 대한 현대 담론의 역사적 기원 41
철학계로부터 나온 불만의 씨앗 44
실제로부터 나온 불만의 씨앗 46
질적-양적 연구 간의 대전투 48
화해와 혼합연구방법의 출현 55
여전히 남아 있는 혼란 63

제4장 논쟁의 장 : 사회과학 혼합연구방법의 패러다임과 실제 65
사회과학 연구에서 철학 패러다임의 본질 그리고 정신모형 67
짚어보기 71
정신모형(그리고 패러다임)과 실제의 관계에 대하여 73
성찰하기 77
나의 혼합연구방법 이야기 79

제5장 연구방법 혼합에서의 패러다임 및 정신모형 혼합에
대한 관점 89
연구방법 혼합에서의 패러다임 혼합에 대한 다양한 관점-개관 91

쉬어가기 1혼합연구방법 사고양식의 예 113
연구 목적 114
혼합연구 설계 115
혼합연구방법 분석 116
대표적 연구결과 117


제2부 사회과학 혼합연구방법의 실제 119

제6장 연구방법 혼합의 목적 121
더 잘 이해하기를 위한 연구방법의 혼합 122
연구방법 혼합의 목적 124
실제에서 혼합연구의 목적 131
혼합연구의 목적에 대해 생각하고 찾아가는 실제 과정 135
혼합연구의 목적과 연구방법 혼합에서의 패러다임 혼합에 관한 관점 138
제7장 혼합연구방법의 설계 141
연구 단계별 연구방법의 혼합 : 혼합연구방법과 혼합모형 설계 142
단일연구 내 혹은 연구 프로젝트에 속하는 연구들 간의 연구방법 혼합 148
혼합연구 설계의 차원 149
구성요소 및 통합적 혼합연구 설계 152
혼합연구 설계에 대한 다른 관점 163
혼합연구 설계 실제에 대한 예시 166
혼합연구 설계와 혼합연구 패러다임 관점 및 혼합연구 목적 간의 연결 169

쉬어가기 2 혼합연구의 목적 및 설계의 실제 173
전체적인 혼합연구의 목적 및 설계 175
MTO 연구에 혼합연구방법이 기여한 바 177

제8장 혼합연구방법 자료분석 179
혼합연구방법 자료분석에 대한 단상 181
혼합연구 자료분석 방법 182
혼합연구 자료분석 사례 195

제9장 사회과학 혼합연구의 질 평가하기 207
사회과학 혼합연구의 준거에 대한 생각 208
사회과학 혼합연구에서 추론의 질 211
사회과학 혼합연구의 질적 요소인 정당화 212
혼합연구에서 추론의 질 검증하기 213
예시 220

제10장 사회과학 혼합연구의 글쓰기와 보고하기 225
사회과학 혼합연구에서의 글쓰기 226
사회과학 연구에서의 표상 229
사회과학 혼합연구에서의 글쓰기 : 두 가지 예비원리 233

쉬어가기 3 혼합연구 자료분석과 배열에서의 창의성 237
메타포 238
예시 238
다도해 메타포의 적용 240


제3부 사회과학 혼합연구방법의 가치 243

제11장 사회과학 혼합연구방법의 잠재력과 가능성 245

참고문헌 251
찾아보기 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