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경제의 비공식(시장)부문 실태 분석: 기업활동을 중심으로
Analysis on the Condition of North Korea's Informal(market) Sector: Focus on Corporate Activity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EM042952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EM044726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M04295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EM04472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요약
I. 문제 제기
1. 연구 목적
2. 연구 방법
II. 국영기업의 시장 활용에 대한 북한당국의 인식 및 개도국의 특징
1. 계획수행의 문제점에 대한 북한의 인식
2. 개도국에서 공식부문의 기업과 비공식부문의 관계
III. 북한 국영기업의 비공식(시장)부분과의 관계: 주요 특징
1. 분석 틀
2. 북한 국영기업의 비공식(시장)부문 활용에서 나타나는 특징
3. 북한 국영기업소의 비공식부문 활용방식
IV. 북한의 시장화 실태 변화: 설문 결과를 중심으로
1. 설문지의 주요 구성과 설문 대상자의 특징
2. 국영기업의 시장 활용에 대한 설문조사 주요 결과
3. 화폐개혁 전후 북한의 시장화 실태 비교
4. 국영기업의 시장 활용에 대한 설문조사 교차분석 주요 결과
V. 맺음말
1. 개도국의 비공식 경제부문과 북한 시장의 공통점과 차이점
2. 북한 기업들의 비공식(시장)부문 활용 방식의 주요 특징
3. 산업분야에 따른 비공식(시장)부문 활용 수준의 격차
4. 국가 계획에 대한 고착화된 관념가 현실적 인식의 괴리
5. 북한에서 시장의 경제적 기능과 제도화가능성
참고문헌
부록
1. 북한 비공식부문 활용 실태에 대한 설문결과
2. 북한 비공식부문 활용 실태에 대한 교차분석 결과
최근 발간자료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