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아산재단 연구총서 제280집

북한이주민: 생활과 의식, 그리고 정착지원정책

서명/저자사항
북한이주민: 생활과 의식, 그리고 정착지원정책/ 윤인진
개인저자
윤인진
발행사항
서울 : 집문당, 2009
형태사항
320 p. : 삽화, 도표, 지도 ; 23 cm
총서사항
아산재단 연구총서 제280집
ISBN
9788930314244
주기사항
참고문헌(p. 304-317)과 색인수록
책 소개
북한을 탈출하여 남한에 입국해서 정착한 사람들은 예전에는 ‘귀순용사’로 불리다가 이제는 ‘탈북자’라고 불리고 있다. 과거 권위주의 정권하에서 탈북자는 소수였고 정치군사적 가치를 가졌기 때문에 ‘특별한 사람’으로 대우받았다. 그러나 탈북이 일상화되고 국내 거주자의 규모가 날로 증가하고 정착이 장기화되는 상황에서 이제는 이들을 ‘이주민’의 시각에서 바라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새로운 체제와 환경에서 살아가는 북한이주민의 사회적응의 과정과 문제를 소수자와 이주민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북한이주민이 탈북해서 제3국에 체류하다가 국내로 입국하여 정착하는 과정들은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 책에서는 탈북 후 제3국에서의 체류 경험, 국내 입국 후 사회적응의 과정과 문제, 태도·가치관·정체성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아울러 재외탈북자의 보호와 국내 북한이주민의 정착을 돕기 위한 정부와 민간단체의 지원정책과 프로그램을 검토하고 북한이주민을 둘러싼 국내외 환경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정착지원정책을 제안하였다.
목차

제1장 서론
1. ‘귀순용사’에서 ‘북한이주민’으로
2. ‘탈북자 문제’
3. 이 책의 주요 내용
1) 북한이주민 연구의 이론적 스펙트럼
2) 재외탈북자 실태
3) 국내 북한이주민의 생활과 의식
4) 북한이주민 가족, 여성, 청소년 문제
5) 북한이주민 보호 및 정착지원정책
4. 자료 및 연구방법

제2장 이론적 고찰
1. 북한이주민 연구의 이론적 스펙트럼
1) 적응론
2) 사회적 배제론
3) 다문화론
2. 북한이주민 연구의 이론적 틀

제3장 재외탈북자 실태
1. 규모와 탈북 경로
1) 규모
2) 탈북 경로
2. 탈북동기
3. 생활실태
1) 중국
2) 러시아
3) 몽골
4) 동남아시아
4. 인권상황
5. 보호대책
1) 민간단체의 지원활동
2) 정부의 보호대책

제4장 북한이주민의 생활과 의식
1. 배경특성
1) 인구통계학적 특성
2) 사회계층적 특성
2. 경제생활
1) 고용상황
2) 소득상황
3. 사회생활
1) 사회연결망과 사회적 지지
2) 사회참여활동
4. 문화생활
5. 심리
1) 가치정향
2) 정치성향
3) 심리적응의 문제
6. 건강
1) 건강수준
2) 질병이환
3) 정신질환
7. 생활만족도

제5장 북한이주민 가족, 여성, 청소년
1. 가족
1) 결혼유형과 가족관계
2) 재외 잔류 가족
3) 법률문제
4) 부부관계
5) 성역할 의식
6) 부모-자녀관계
7) 가족탄력성
2. 여성
1) 경제생활
2) 사회생활
3) 가족생활
4) 여성으로서의 차별 경험
3. 청소년
1) 현재희망
2) 직업
3) 지원정책
4) 한국에서의 생활
5) 가족
6) 건강과 종교
7) 경제생활
8) 학교교육

제6장 북한이주민 지원정책
1. 외국의 사례
1) 서독의 이주민 수용정책
2) 미국의 난민정책 및 이민자 적응양식
3) 이스라엘 이민정책
2. 북한이주민 보호 및 정착지원정책

제7장 결론 및 정책제언
1. 요약
2. 정책제언
1) 재외탈북자 보호정책
2) 북한이주민 정착지원정책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