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잡계 네트워크 과학: 21세기의 정보과학
- 서명/저자사항
- 복잡계 네트워크 과학: 21세기의 정보과학/ 강병남 저
- 개인저자
- 강병남
- 발행사항
- 서울 : 집문당, 2010
- 형태사항
- 271 p. : 삽화, 도표 ; 23 cm
- 총서사항
- 아산재단 연구보고서 제124집
- ISBN
- 9788930314312
- 주기사항
- 참고문헌(p. 259-271)과 색인수록
책 소개
목차
제1장 좁은세상
1.1 밀그램의 좁은세상 실험
1.2 한국에서의 좁은세상 실험
1.3 좁은세상이 왜 만들어질까
1.4 좁은세상 네트워크에 대한 스케치
제2장 네트워크 분석
2.1 네트워크의 종류
2.2 네트워크 구조 용어
제3장 무작위 네트워크
제4장 좁은세상 네트워크
제5장 척도 없는 네트워크
5.1 월드-와이드 웹
5.2 인터넷
5.3 영화배우 네트워크
5.4 논문 인용 네트워크
5.5 신진대사 반응 네트워크
5.6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
제6장 척도 없는 네트워크 모형
6.1 바라바시-알버트(BA) 모형
6.2 적합성 모형
6.3 후버만-아다미치 모형
6.4 스태틱 모형
6.5 Configuration 모형
6.6 적응모형
6.7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 모형
6.8 사회네트워크에 대한 모형
제7장 척도 없는 네트워크의 Ultrasmall 성질
제8장 복잡계 네트워크에서 스핀 모형의 상전이 현상
8.1 평형 앙상블
8.2 Potts 모형
8.3 분배함수
8.4 Static 모형을 이용한 Potts 모형 상전이 현상
8.5 Helmholtz 자유에너지
부록 8.1: Σ1(y)의 해
부록 8.2: 멱함수의 특이성
제9장 스미기 전이(percolation transition)
9.1 Potts 모형과 스미기 문제와의 관계
9.2 Potts model을 이용한 스미기 문제 접근
9.3 분배함수
9.4 스태틱 모형을 이용한 스미기 전이 유도: 열역학 극한
9.5 도수분포
9.6 거대 클러스터의 크기
9.7 클러스터 크기의 분산
9.8 고리의 개수
9.9 s-크기 클러스터에 속할 확률과 거대 클러스터의 크기
9.10 갈래치기 방법을 이용한 클러스터 크기 분포 유도
제10장 복잡계 네트워크의 견고성 및 연쇄적 파멸 현상
10.1 복잡계 네트워크의 견고성
10.2 연쇄적 파멸 현상
10.3 모래사태 모형
제11장 복잡계 네트워크에서의 수송 현상
11.1 최단 경로 수송과 부하
11.2 부하분포와 척도 없는 네크워크의 위상적 성질
11.3 부하 간의 상관관계
11.4 확산 수송과 멋대로 걷기
제12장 네트워크의 집단 선별
12.1 Girvan-Newman 알고리즘
12.2 Newman의 빠른 알고리즘
12.3 계층적 집단화(Hierarchical clustering) 방법
12.4 q-state Potts 모형을 이용한 알고리즘
12.5 D-value에 근거한 집단구조 선별 방법
제13장 가중치 복잡계 네트워크
13.1 가중치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징
13.2 가중치 네트워크 위에서의 수송 현상
제14장 네트워크의 스펙트럼 성질
14.1 이웃행렬
14.2 이웃행렬에 대한 스펙트럼
14.3 가중치가 있는 이웃행렬의 스펙트럼 밀도
14.4 라플라시안 행렬에 대한 스펙트럼 밀도
14.5 가중치가 있는 라플라스 행렬의 스펙트럼 밀도
제15장 프랙탈 복잡계 네트워크
제16장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코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