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47582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M04758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근 들어 우리 사회에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관심이 부쩍 높아졌다. 그도 그럴 것이 우리 일상생활의 삶 자체가 커뮤니케이션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업은 물론이고 개인, 가정, 학교, 정부의 공조직에 이르기까지 사회의 모든 영역에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보건커뮤니케이션은 그동안 하나의 학문영역이라기보다는 의사, 약사, 간호사 혹은 보건전문인들이 환자나 고객과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하기 위한 수단이나 기술로 간주되어 온 경향이 있다. 하지만 근래에 들어와 보건전문인과 환자 혹은 피교육자와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은 업무수행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인식되기 시작했다. 과거에는 주로 의사들이 소비자들에게 의료적 지식을 전달했으나, 현재는 책이나 웹사이트, 신문, 잡지, 라디오, TV와 같은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의료정보를 제공한다. 건강증진시대를 맞아 보건정보의 전달, 효과적인 건강메시지의 개발과 캠페인 및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됨에 따라 보건커뮤니케이션의 영역은 학문으로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처럼 보건커뮤니케이션은 학문영역으로서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보건커뮤니케이션에 입문하는 학생들이나 종사자들을 위한 기본적인 이론서가 드물다. 특히 보건커뮤니케이션 이론에 근거하여 상황을 분석하고 대처하는 전략을 제시하는 교재가 매우 부족한 형편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보건교육사를 포함한 보건전문인이 어려운 헬스 커뮤니케이션 상황을 분석할 수 있고, 효과적인 의사소통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게 보건교육사를 포함한 보건관리전문인을 위한 안내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며, 보건관리 과정을 이수하는 대학 및 대학원 학생에게 유용한 교재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 책은 총 8장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를 다시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한 부분(제1부: 제1장~제4장)과 보건분야에 커뮤니케이션을 실제로 적용한 부분(제2부: 제5장~제8장)으로 구분해 놓았다.
목차
SECTION 1. 헬스 커뮤니케이션 이론
CHAPTER 1. 헬스 커뮤니케이션의 개념 3
1.1. 헬스 커뮤니케이션의 배경 3
1.2. 헬스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6
1.3. 헬스 커뮤니케이션 환경 14
1.4. 헬스 커뮤니케이션의 기능 15
1.5. 헬스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최근 쟁점 17
CHAPTER 2. 커뮤니케이션의 이론과 모델 27
2.1. 커뮤니케이션의 개념 및 요소 29
2.2. 커뮤니케이션의 모델 32
2.3. 맥과이어의 커뮤니케이션설득모델과 정보설득모델 37
2.4. 헬스커뮤니케이션 관련 이론 42
CHAPTER 3. 커뮤니케이션 유형과 방법 53
3.1. 커뮤니케이션 유형 53
3.2. 커뮤니케이션의 방법 66
CHAPTER 4. 커뮤니케이션의 구성요소별 이론 73
4.1. 송신자에 해당하는 정보원의 성격(S) 74
4.2. 메시지(M) 77
4.3. 커뮤니케이션 채널(C) 87
4.4. 수신자 혹은 수용자(R) 93
SECTION 2. 보건 커뮤니케이션의 실제
CHAPTER 5. 상담과 설득 109
5.1. 설득의 구성요소 110
5.2 비언어적 메시지 111
5.3 설득의 원리 116
CHAPTER 6. 스피치 커뮤니케이션 125
6.1. 스피치 커뮤니케이션의 정의 및 특성 125
6.2. 스피치 준비 126
6.3 스피치 평가표 140
CHAPTER 7. 캠페인 기획 및 실제 149
7.1. 캠페인의 정의 149
7.2. 캠페인의 이론적 토대 150
7.3. 캠페인 효과, 어느 정도인가? 154
7.4. 캠페인 기획과정 155
7.5. 캠페인 평가 171
7.6. 수용자-채널-메시지-평가 캠페인 틀(ACME Framework) 173
7.7. 고려사항 175
CHAPTER 8. 위험 커뮤니케이션과 위기관리 187
8.1.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발전 187
8.2. 위험 커뮤니케이션 연구와 실제 192
8.3. 위기관리의 속성과 모델 206
8.4. 위기관리 세부 활동 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