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47564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M04756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시민교육은 보통교육으로서 모든 시민들에게 민주적 공존에 필요한 지식과 기능을 길러주고 신념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책은 역사적 전례가 없는 다양성이라는 도전에 대응하여 조화롭고 질서 있는 시민사회의 형성에 기여하는 시민교육 모델을 제안하고 있다. 이를 위해 다양성의 심화가 가져온 위기적 측면을 고찰하였으며,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법제도적·교육적 노력의 현황과 성과 및 한계를 살펴보았다. 다른 나라의 사례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는 한편 시민 사회의 교육적 수요를 분석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목차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 내용
3. 연구방법
II. 다문화 시대의 도래와 교육의 과제
1. 이주의 시대와 시민의 삶: 변화와 위기
1) 이주가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
2) 다문화 시대의 시민의 삶
2. 다문화 시대의 교육
1) 글로벌화 이전의 국가 중심 교육 모델
2) 다문화 시민성
3. 다문화 시민성의 실태
III. 다문화 시민성 교육의 현황
1. 교육정책 및 교육과정 속의 다문화 시민성 교육
1) 다문화교육 정책 현황
2) 다문화교육 정책 평가
2. 학교에서의 다문화 시민교육
1) 학교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기본 요소
2) 교과중심의 다문화 시민 교육
3) 교과 연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4) 비교과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5) 외부 기관의 지원
3. 교사대상 교육
1) 교육부중앙교육연수원(http://www.neti.go.kr) 원격 연수
2) 다문화교육센터 운영 연수(경기도)
3) 원격교육연수원 운영 연수
4. 국내 다문화 시민 교육에 대한 평가
1) 다문화 시민 교육의 개념
2) 교과 내용을 활용한 다문화 시민 교육
3) 다문화 시민 교육과 관련된 특별활동 및 행사활동
4) 다문화 시민 교육의 내용 선정
5) 교사 교육
5. 해외 사례
1) 미국
2) 캐나다
3) 영국
4) 일본
5) 특징 및 시사점
IV. 한국 사회의 다문화 시민성 실태 및 다문화 시민 교육에 대한 수요 현황
1. 조사 개요
2. 다문화적 시민성 조사 결과
1) 응답자 특성
2) 다문화 법률 및 정책에 대한 인식
3) 다문화 구성원 지원 여부 숙지 정도
4) 조사결과 논의
V. 통합 다문화 한국을 위한시민 교육의 원리와 방향
참고문헌
부 록
1. 설문지: 다문화 인식 및 다문화 시민 교육에 대한의견 조사 설문지
2. 캐나다 현장 탐방 보고서: 캐나다의 다문화주의 실천이다문화 한국의 사회통합에 갖는 함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