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행본직무분석 자격증 2급 시험을 위한 기초 수험서
직무분석개론 : 직무분석 스터디 1단계
- 서명/저자사항
- 직무분석개론 : 직무분석 스터디 1단계 / 최영훈 지음
- 개인저자
- 최영훈
- 발행사항
- 화성 : 플랜비디자인 , 2020
- 형태사항
- 111 p. : 삽도 ; 19 cm
- ISBN
- 9791189580339
- 주제어
- 직무 분석[職務分析]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51390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M05139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직무분석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이론서'
인사담당자들의 성과관리에 초점을 맞춰 2017년부터 시작한 체계적 직무분석 방법론과 퍼포먼스에 이어서 저자가 세번째로 저술한 직무분석에 대한 책입니다. 저자는 앞서 저술한 두권의 책 이전에 기초적인 직무분석에 대한 개론서임을 밝히며 앞으로 인사/교육 업무로 취업하고자 하는 취업 준비생들 또는 초기 인사담당업무를 담당하게 된 사람들을 위한 책이라고 밝힙니다.
이 책은 직무분석에 대한 개론서인 만큼 폭넓은 지식을 전달합니다. 직무와 직무분석의 개념을 밝히고 직무분석에 대해 어떤 결과물이 도출되어야 하는지 조직에 있어서 직무분석이 갖는 목적성을 서술합니다. 뿐만 아니라 초기 인사담당자들을 위해 NCS(국가직무능력표준)을 활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출판사 리뷰
직무분석과 관련한 저자의 책들은 신기하게 발행되었습니다. 보통은 난이도가 낮은 책에서 시작해서 점차 난이도가 높은 시리즈가 나오기 마련인데, 이 책은 2017년 인사담당자들을 위한 '체계적 직무분석 방법론' 이후, SME 또는 일반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퍼포먼스'가 출판되고 직무분석에 대한 가장 기초적이 이론서인 '직무분석개론'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계획한것이라기 보다는 주변분들의 요청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만큼 개인의 측면에서도 직무분석이 갖는 의미가 커진것은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이전에 체계적인 인사시스템을 위해서 필요했던 직무분석이 개인의 영역에도 필요해진 것은 아닐까? 평생직장이라는 개념이 이미 먼발치로 사라져가 가고, 지금의 성과관리나 커리어 관리에 있어서 개인의 영역이 커진 것은 아닌지. 같은 직장안에서도 똑같이 주어진 일을 하면서도 지속적인 성장과 성과를 내기 위해서 우리가 지금 해야 할 것은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일이 어떤일인지 직무분석이라는 언어로 확인해 보는 것은 어떨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게임을 하다보면 시작하기전에 직업을 선택하거나, 성장하는 과정에서 직업을 선택하는 게임들이 있습니다. 이때 플레이어의 성향과 특성에 맞는 직업선택은 이후의 게임을 풀어나가는 과정에서 굉장히 중요한 요소 입니다. 이것을 위해 게임에는 공략이라는 것이 존재하고 이것을 모아 공략집 이라고 이야기 합니다. "직무분석개론" "퍼포먼스" "체계적 직무분석 방법론" 세가지 책들은 마치 조직생활의 공략집과 같습니다. 각자가 맡은 직무에서 효과적인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지요. 흔히들 길을 잃지 않기 위해서는 지도나 나침반이 있어야 한다고 합니다. 조직안에서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인사시스템을 위한 기준, 개인에게는 커리어 경력관리를 위한 지도와 같은 것이 직무분석입니다. 기준이 있어야 조직의 구성원들이 이해하고 따를 것이고, 경력관리를 위한 지도가 있어야 내가 무엇을 해야 하고 , 더 할 수 있는지 더 나은 다음단계는 무엇이 있는지 알 수 있는 것입니다.
인사담당자들의 성과관리에 초점을 맞춰 2017년부터 시작한 체계적 직무분석 방법론과 퍼포먼스에 이어서 저자가 세번째로 저술한 직무분석에 대한 책입니다. 저자는 앞서 저술한 두권의 책 이전에 기초적인 직무분석에 대한 개론서임을 밝히며 앞으로 인사/교육 업무로 취업하고자 하는 취업 준비생들 또는 초기 인사담당업무를 담당하게 된 사람들을 위한 책이라고 밝힙니다.
이 책은 직무분석에 대한 개론서인 만큼 폭넓은 지식을 전달합니다. 직무와 직무분석의 개념을 밝히고 직무분석에 대해 어떤 결과물이 도출되어야 하는지 조직에 있어서 직무분석이 갖는 목적성을 서술합니다. 뿐만 아니라 초기 인사담당자들을 위해 NCS(국가직무능력표준)을 활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출판사 리뷰
직무분석과 관련한 저자의 책들은 신기하게 발행되었습니다. 보통은 난이도가 낮은 책에서 시작해서 점차 난이도가 높은 시리즈가 나오기 마련인데, 이 책은 2017년 인사담당자들을 위한 '체계적 직무분석 방법론' 이후, SME 또는 일반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퍼포먼스'가 출판되고 직무분석에 대한 가장 기초적이 이론서인 '직무분석개론'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계획한것이라기 보다는 주변분들의 요청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만큼 개인의 측면에서도 직무분석이 갖는 의미가 커진것은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이전에 체계적인 인사시스템을 위해서 필요했던 직무분석이 개인의 영역에도 필요해진 것은 아닐까? 평생직장이라는 개념이 이미 먼발치로 사라져가 가고, 지금의 성과관리나 커리어 관리에 있어서 개인의 영역이 커진 것은 아닌지. 같은 직장안에서도 똑같이 주어진 일을 하면서도 지속적인 성장과 성과를 내기 위해서 우리가 지금 해야 할 것은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일이 어떤일인지 직무분석이라는 언어로 확인해 보는 것은 어떨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게임을 하다보면 시작하기전에 직업을 선택하거나, 성장하는 과정에서 직업을 선택하는 게임들이 있습니다. 이때 플레이어의 성향과 특성에 맞는 직업선택은 이후의 게임을 풀어나가는 과정에서 굉장히 중요한 요소 입니다. 이것을 위해 게임에는 공략이라는 것이 존재하고 이것을 모아 공략집 이라고 이야기 합니다. "직무분석개론" "퍼포먼스" "체계적 직무분석 방법론" 세가지 책들은 마치 조직생활의 공략집과 같습니다. 각자가 맡은 직무에서 효과적인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지요. 흔히들 길을 잃지 않기 위해서는 지도나 나침반이 있어야 한다고 합니다. 조직안에서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인사시스템을 위한 기준, 개인에게는 커리어 경력관리를 위한 지도와 같은 것이 직무분석입니다. 기준이 있어야 조직의 구성원들이 이해하고 따를 것이고, 경력관리를 위한 지도가 있어야 내가 무엇을 해야 하고 , 더 할 수 있는지 더 나은 다음단계는 무엇이 있는지 알 수 있는 것입니다.
목차
'직무분석개론'을 시작하며
CHAPTER 01
직무분석이란 무엇인가
01직무의 개념
02직무분석의 개념
CHAPTER 02
직무분석을 통해
어떤 결과물들이 도출되어야 하는가?
01직무분석을 통해 도출하는 일반적 결과물
02직무기술서와 직무명세서
03직무분석 유형별 핵심결과물 비교
가 행동세분화 직무분석 유형
04직무분석 유형별 핵심결과물 비교
나 성과중심 직무분석 방법
CHAPTER 03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이해
01NCS란 무엇인가? NCS 기본 개념 이해하기
02NCS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다양한 HR 문서양식
CHAPTER 04
직무분석의 활용분야
CHAPTER 05
직무분석 컨설턴트의 역할
CHAPTER 06
직무분석 심화학습방법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