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

산업의 추격, 추월, 추락: 산업주도권과 추격사이클

Catching up, forging ahead, and falling behind of the industry

서명/저자사항
산업의 추격, 추월, 추락= 산업주도권과 추격사이클/ 지은이: 이근, 박태영, 강승원, 기지훈, 김재우, 김지나, 박동현, 신동오, 유형세, 이걸희, 이수정, 임동진, 최문성
대등서명
Catching up, forging ahead, and falling behind of the industry
발행사항
파주 : 21세기북스(북이십일 21세기북스), 2014
형태사항
271 p. : 도표 ; 23 cm
ISBN
9788950956691
주기사항
참고문헌 수록
책 소개
잘나가던 선도기업은 왜 ‘추락’하는가?
후발기업은 어떻게 ‘추격’하고, ‘추월’하는가?


최근 중국의 급속한 추격으로 한국 산업의 위기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각 산업의 주도권은 왜 한 나라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나라로 계속 이전될까? 이러한 산업주도권의 국가 간 이전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이론이 나왔다. 신간『산업의 추격, 추월, 추락』에서 제시한 ‘추격 사이클 이론’이다.
선발자의 사이클이 있다면, 후발자가 등장해 선발자를 시장에서 몰아내고, 또 이 후발자는 그 이후에 등장한 차세대 후발자에게 다시 자리를 내주는 통상적 사이클이 그것이다. 여기에 추가해, 후발자가 추격에 실패하는 반쪽 사이클이나 선발자가 계속 주도권을 유지하는 경우인 수퍼사이클super cycle도 같은 이론 틀에서 설명이 가능하다.
이러한 산업 주도권의 연속적인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산업의 추격, 추월, 추락』에서는 ‘기회의 창’이라는 개념과 추격의 세 가지 유형(경로 추종형, 단계 생략형, 경로 창출형)을 결합한 이론적 분석틀을 제시한다. 기회의 창의 예로 새로운 기술 혁신이나 새로운 기술-경제 패러다임의 등장, 경기순환(불황)과 시장 수요의 변화, 정부나 규제의 역할 등을 고려했다. 이런 기회의 창들이 후발자의 적절한 전략과 선발자의 자만과 맞물릴 때 시장 역전과 비약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산업별 주도권 이전의 메커니즘을 분석한다!
『산업의 추격, 추월, 추락』은 추격 사이클 이론을 휴대폰, 게임, 휴대용 음악 재생기, 반도체, 자동차, 철도, 제약 등 여러 산업에 적용하여 분석한다. 가령 철강 산업에서, 미국에서 일본으로의 주도권 이전은 새로운 공법의 출현 이후 이의 도입에 미국은 지체하는 반면, 이를 빨리 도입한 일본이 주도권을 장악하는 과정이라고 설명될 수 있으며, 결국 기술 패러다임 변화가 기회의 창으로 작용해 발생한 경로 창출형 추격이었다. 반면에 일본에서 한국으로의 주도권 이전에서 한국에게 기회의 창은, 진입 단계(70년대)에 발생한 철강 산업의 불황에 따라 철강 설비를 싸게 구입할 수 있었다는 측면, 즉 비즈니스 사이클의 불황기가 기회의 창으로 작용하였고, 도약기(80년대 중반)에는 역시 오일쇼크에 따른 불황기에 포스코가 가장 최신 공법 및 설계를 채택한 광양 제철을 신설함으로서 단계 생략형 추격을 한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 책은 왜 기존 선도기업이 결국 쇠퇴하거나 추락하는지, 한편으로는 어떻게 후발기업이 선발기업을 추격하고 추월할 수 있는지에 대한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각 장 및 결론에서 실천적인 전략과 정책 시사를 도출해 냄으로써, 최근 중국의 급속한 추격으로 인해 주도권 유지에 고심하고 있는 한국의 주요 산업에 여러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대표 저자]

이근(李根)
박태영(朴泰暎)

[공동 저자(가나다 순)]

강승원(신한금융투자 리서치센터)
기지훈(서울대학교 경제학부 박사과정)
김재우(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김지나(보건복지부 국민연금재정과)
박동현(회계사/산업은행)
신동오(삼성증권 리서치센터)
유형세(기획재정부 행정사무관)
이걸희(前 한화투자증권 갤러리아지점)
이수정(한국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임동진(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최문성(기획재정부 국제금융정책국 행정사무관)

목차

서문

1장. 산업 주도권 이동과 추격 사이클 이론 | 이근, 기지훈
들어가며
추격 사이클 이론
결론

2장. 휴대폰 산업에서의 주도권 이전 | 강승원, 이걸희, 임동진
들어가며
휴대폰 산업의 특징
모토로라에서 노키아로의 주도권 이전
한국의 휴대폰 산업 진입
스마트폰 시대의 도래: 애플과 삼성의 양강체제
결론

3장. 게임 산업에서의 주도권 이전 | 신동오
들어가며
주도권 변화의 전개 과정: 미국-일본-한국
주요 기업별 경쟁 전략
결론

4장. 휴대용 음악재생기 산업에서의 주도권 이전 | 이수정
들어가며
세계 휴대용 음악재생기 산업의 역사
휴대용 음악재생기 산업의 특징 및 기술 체제
한국의 일본 추격
미국의 한국 추격
결론

5장. 반도체 산업에서의 주도권 이전: DRAM을 중심으로 | 박동현
들어가며
DRAM 메모리 반도체 산업의 역사와 주도권 이전 과정
미국에서 일본으로의 주도권 이전
일본에서 한국으로의 주도권 이전
결론

6장. 자동차 산업에서의 주도권 이전: 한국의 일본 추격과 미국의 쇠퇴 | 최문성, 김재우
들어가며
자동차 산업의 특징 및 환경 변화
한국 자동차 산업의 일본 자동차 산업 추격
미국 자동차 산업의 쇠퇴
결론

7장. 철도 산업에서의 주도권 이전: 최신기술 적용을 중심으로 | 유형세
들어가며
철도의 개념 및 역사
최초의 기차 - 영국
철도 왕국 - 미국
고속철도의 시대 - 일본
철도 산업의 미래 - 중국
결론

8장. 제약 산업에서의 주도권 이전 | 김지나
들어가며
제약 산업의 특징
유럽에서 미국으로의 주도권 이전과 추격 요인 분석
인도와 중국의 성장과 추격 요인 분석
결론

9장. 한국의 기업, 산업, 정부 차원의 대응 전략 | 이근, 박태영
들어가며
한국 기업의 세 가지 대응 전략
한국 산업의 선택: 추격형 단명 기술 위주에서 장수 기술로의 전환
정부는 ‘신산업 정책’으로 가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