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행본서울대통일평화연구원 통일학연구 17
북한사회변동 2012-2013: 시장화, 소득분화, 불평등
- 서명/저자사항
- 북한사회변동 2012-2013: 시장화, 소득분화, 불평등/ 저자: 박명규, 장용석, 정은미, 송영훈
- 발행사항
- 서울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4
- 형태사항
- 143 p. : 도표 ; 22 cm
- 총서사항
- 서울대통일평화연구원 통일학연구 17
- ISBN
- 9788996801382
책 소개
21세기 한국사회의 미래를 생각할 때 북한이 어떤 방향으로 변화할 것인가를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에 대한 정보는 늘 불충분하고 예측은 부정확하다. 그렇다고 북한에 대한 객관적인 연구의 부족함을 불충분한 자료 탓으로만 돌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북한에 대한 우리 사회의 관심이 너무 엘리트 중심, 평양중심, 최고지도자 중심으로 되어 있어서 새로운 시선과 방법론을 적극 활용하지 못하는 학계의 관성도 한 못을 하고 있다는 생각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현 상황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북한주민들의 생활에 대한 실증적 조사 자료에 기초한 것이다. 완벽한 직접조사에 비할 수는 없지만 상당히 유의미한 변화의 실상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조사가 보여주는 바를 요약하면 지배층 중심의 공식영역과 피지배인민 중심의 일상생활영역 간에 상당한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평양을 중심으로 북한 정권의 공식담론에 근거해보면 김정은 체제의 안정성과 지속성, 통합성이 크게 부각되지만 일반주민들이 살아가는 지방의 장마당, 비공식적인 사회관계에 초점을 맞추면 북한은 현재 상당한 변화의 흐름 속에 놓여있다. 이 책의 부제로 제시한 시장화, 소득분화, 불평등은 그런 변화의 핵심적 특성을 요약한 것이다. 이런 사회경제적 변화가 아래로부터 어떤 동력을 만들어낼지, 북한의 지도부는 이 새로운 흐름에 어떻게 대응할지, 동북아의 격동하는 외부환경과는 어떤 상호작용을 하게 될지 치밀한 관찰과 분석이 요구된다. 이 조사연구가 정중동의 북한사회를 좀 더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해하는데 중요하게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 연구는 현 상황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북한주민들의 생활에 대한 실증적 조사 자료에 기초한 것이다. 완벽한 직접조사에 비할 수는 없지만 상당히 유의미한 변화의 실상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조사가 보여주는 바를 요약하면 지배층 중심의 공식영역과 피지배인민 중심의 일상생활영역 간에 상당한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평양을 중심으로 북한 정권의 공식담론에 근거해보면 김정은 체제의 안정성과 지속성, 통합성이 크게 부각되지만 일반주민들이 살아가는 지방의 장마당, 비공식적인 사회관계에 초점을 맞추면 북한은 현재 상당한 변화의 흐름 속에 놓여있다. 이 책의 부제로 제시한 시장화, 소득분화, 불평등은 그런 변화의 핵심적 특성을 요약한 것이다. 이런 사회경제적 변화가 아래로부터 어떤 동력을 만들어낼지, 북한의 지도부는 이 새로운 흐름에 어떻게 대응할지, 동북아의 격동하는 외부환경과는 어떤 상호작용을 하게 될지 치밀한 관찰과 분석이 요구된다. 이 조사연구가 정중동의 북한사회를 좀 더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해하는데 중요하게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제1장 / 연구 개요 14
1. 조사 목적 14
2. 설문내용 및 조사방법 17
3. 인구학적 배경변수별 특징 20
4. 조사 의의와 시사점 29
제2장 / 의식주 생활의 불평등 34
1. 사회적 기초로서의 일상 34
2. 식의주 실태와 지역별 생활수준 불균등 36
3. 소득수준별 식의주 생활의 불평등 64
4. 평가와 시사점 76
제3장 / 시장화와 소득분화 84
1. 시장화란 84
2. 경제의 시장화 90
3. 소득의 분화 118
4. 평가와 시사점 133
제4장 / 향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 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