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성지능 개발을 통한 삶의 질 향상
- 서명/저자사항
- 감성지능 개발을 통한 삶의 질 향상/ 저자: 김경수, 김공수, 김인숙, 양동민, 김태준
- 발행사항
- 파주 : 집문당, 2010
- 형태사항
- 316 p. ; 23 cm
- 총서사항
- 아산재단 연구총서 제290집
- ISBN
- 9788930314695
- 주기사항
- 참고문헌(p. 301-313)과 색인수록
책 소개
목차
Ⅰ. 연구의 의의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제1절 감성 지능의 개념과 의미
1. 지능과 감성지능
2. 감성과 감성지능
2.1 감성
2.2 감성지능
2.3 감성지능의 효과와 원리
제2절 감성 지능과 리더십
1. 리더십에 있어서 감성지능의 중요성
2. 변혁적 리더십과 감성지능
2.1 변혁적 리더십의 정의
2.2 변혁적 리더십의 차원
2.3 변혁적 리더십과 감성지능간의 관계
3. 코치형 리더십과 감성지능
3.1 코치형 리더십의 정의
3.2 코치형 리더십의 차원
3.3 코치형 리더십과 감성지능간의 관계
4. 배려형 리더십과 감성지능
4.1 배려형 리더십의 정의와 특성
4.2 관계중시형(배려형) 리더십과 감성지능간의 관계
5. 지시형 리더십(Commanding leadership)
5.1 지시형 리더십의 정의와 특징
5.2 지시형 리더십과 감성지능
제3절 리더십 행동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자기효능감
1. 리더십 행동과 직무만족
1.1 직무만족
1.2 상사의 리더십 행동과 부하의 직무만족간의 관계
2. 리더십 행동과 조직몰입
2.1 조직몰입
2.2 리더십 행동과 조직몰입
3. 리더십 행동과 자기효능감
3.1 자기효능감
3.2 상사의 리더십 행동과 부하의 자기 효능감
Ⅲ. 연구 1: 상사-부하간 관계
제1절 연구설계 및 방법
1. 연구모형
2. 주요 개념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방법
2.1 감성지능(emotional intelligence)
2.2 리더십
2.3 직무만족
2.4 조직 몰입
2.5 자기 효능감(self-efficacy)
3. 연구방법 및 분석방법
3.1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3.2 조사 도구 및 측정 방법
3.3 통계 및 분석방법
제2절 분석 결과 및 고찰
1. 자료의 특성
2. 조사 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2.1 감성지능(Emotional Intelligence: EI)
2.2 상사의 리더십 행동(Leadership Behavior)
2.3 직무만족(Job Satisfaction)
2.4 조직몰입(Organizational Commitment)
2.5 자기 효능감(self-efficacy)
3. 가설의 검증
3.1 상관관계 분석
3.2 가설 1에 대한 검증
3.3 감성지능의 구성요소와 리더행동유형간 관계에 대한 분석
3.4 가설 2, 3, 4에 대한 검증
Ⅳ. 연구 2: 부모와 자녀간의 관계
제1절 연구설계 및 방법
1. 연구모형
1.1 부모의 감성지능과 리더십 행동
1.2 부모의 리더십 행동과 자녀의 감정지능
1.3 부모의 리더십 행동과 자녀의 삶의 질
2. 주요 개념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방법
2.1 감성지능(emotional intelligence)
2.2 리더십
2.3 자녀의 삶의 만족
3. 연구방법 및 분석방법
3.1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3.2 조사 도구 및 측정 방법
3.3 통계 및 분석방법
제2절 분석 결과 및 고찰
1. 자료의 특성
2. 조사 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2.1 감성지능(Emotional Intelligence: EI)
2.2 리더십 행동(Leadership Behavior)
2.3 자녀의 삶의 만족
3. 가설의 검증
3.1 상관관계 분석
3.2 가설 5에 대한 검증
3.3 감성지능 요소와 리더행동유형 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
3.4 가설 6에 대한 검증
3.5 가설 7에 대한 검증
3.6 가설 8에 대한 검증
3.7 부모의 감성지능과 자녀의 감성지능 관계
Ⅴ. 결론
제1절 이론 및 실증적 이슈
제2절 본 연구의 한계
제3절 시사점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