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의 가뭄 특성 분석 및 가뭄우심지도 작성
Analysis and mapping of the drought characteristics in North Korea
- 서명/저자사항
- 북한의 가뭄 특성 분석 및 가뭄우심지도 작성/ 최진용, 이정재, 장민원
- 대등서명
- Analysis and mapping of the drought characteristics in North Korea
- 발행사항
-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 형태사항
- xvii, 217 p. : 삽화, 도표, 지도(일부천연색) ; 23 cm
- 총서사항
- 서울대학교 통일학 신서 3
- ISBN
- 9788952109439
- 주기사항
- 영어 요약 있음 참고문헌(p. 187-194)과 색인수록
책 소개
이와 같은 우리나라의 가뭄특성은 사회기반시설이 특히 취약한 북한 주민에게 경제적으로 사회적으로 고통을 겪게 하고 있다. 북한은 전 세계적으로 가뭄에 가장 취약한 국가들 중의 하나로서 수자원 부존량이 남한에 비하여 적고 작물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관개 시설 기반도 열악하기 때문에 가뭄이 발생하면 농업 생산에 있어서 치명적 피해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북한은 2000년 이후 홍수와 가뭄이 번갈아 발생하면서 많은 북한 주민이 굶주림에 고통받아 왔으며 지금도 많은 북한 주민들이 남한과 World Food Programme과 같은 세계 민간기구의 식량 지원을 기다리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홍수와 가뭄으로 인한 자연재해로 발생한 북한의 식량난 해결을 위해 기본적이고 기술적 접근 방법이 필요하며, 이의 한 방편으로 북한의 농업생산기반의 실태와 농업용수이용체계를 파악하여 북한 농업생산기반사업의 개선과 향후 협력사업의 추진을 준비하는 연구들이 서울대학교 통일학연구소와 한국농촌공사 등에서 꾸준히 수행되어 왔다. 하지만 가뭄과 홍수 등 극심한 자연재해로 인해서 북한의 식량난이 가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재해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과 연구는 미진한 형편이었으며 북한 지역 가뭄위험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와 분석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북한의 가뭄 취약성을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기반 자료와 정보가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서울대학교의 통일연구소의 지원으로 “북한의 가뭄 특성 분석 및 가뭄우심지도 작성” 연구를 수행하게 된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의 수행 연구 수행을 위하여 연구비를 지원해 주시고 연구 결과가 통일학 신서 총서로 빛을 볼 수 있도록 배려해 주신 서울대학교 통일연구소의 소장님과 관계자 여러분에게 먼저 감사드린다. 그리고 연구 수행에 참여한 경상대학교 지역환경기반공학과의 장민원 교수님과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지역시스템공학전공의 이정재 교수님, 지역시스템공학전공 통합연구실의 지역용수정보공학그룹과 지역시스템 및 구조 공학 그룹의 대학원생 유승환, 남원호, 이제명에게도 감사를 전한다. 본 연구 결과가 통일학 신서 총서로 북한과 가뭄에 관심이 있는 여러 사람에게 다가갈 수 있게 된 것을 연구를 수행한 책임자로 정말로 기쁘게 생각한다. 부족하지만 북한의 가뭄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목차
서울대학교 통일학 신서를 내면서 v
머리말 vii
제1장 서론
제1절|연구개발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제2절|연구의 내용 및 범위
1. 연구의 내용
2. 연구의 범위
3. 연구방법
제2장 북한의 가뭄피해
제1절|가뭄 기록
1. 언론의 가뭄 기록
2. 정부 보고서의 가뭄 기록
3. 국제기구 보고서 및 해외 언론의 가뭄 기록
제2절|가뭄 발생 원인과 피해 분석
제3장 북한의 주요 기상 특성
제1절|기상자료의 수집과 전처리
제2절|기상변화 분석
1. 북한의 기후특성
2. 월별 기온 및 강수량 변화
3. 연도별 기온 및 강수량 변화
4. 기간별 기온 및 강수량 변화
5. 강수일수와 호우일수 분석
제4장 지역별 가뭄평가
제1절|가뭄의 정의 및 가뭄지수
1. 가뭄의 정의
2. 가뭄의 학문적 분류
3. 가뭄지수의 분류
제2절|지수별 가뭄평가
1. 과우일수를 이용한 가뭄빈도 분석
2. 정상강수백분율(PNP)을 이용한 가뭄빈도 분석
3. 십분위 지수(Deciles)를 이용한 가뭄빈도 분석
4. Phillips 지수를 이용한 가뭄빈도 분석
5. 표준강수지수(SP)를 이용한 가뭄빈도 분석
6. Palmer 지수(PDSI)를 이용한 가뭄빈도 분석
제5장 가뭄우심지역의 평가와 분류
제1절|가뭄우심지역 평가 기준
제2절|가뭄우심지역 평가 방법
1. 대상 지역 선정
2. 가뭄지수 및 강수량 산정
3. 빈도해석
4. GIS를 이용한 가뭄우심지도 작성
5. 군집분석을 이용한 가뭄우심지구의 분류
제3절|강수량 및 가뭄지수 빈도해석
1. 시계열 작성
2. 적합도 검정 및 최적확률분포형 선정
3. 빈도해석
4. GIS를 이용한 가뭄우심지도
제4절|군집분석을 이용한 가뭄우심지구의 분류
제6장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
찾아보기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