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세계 속의 아시아연구 시리즈 ;중앙아시아센터 연구서 019002

유라시아의 심장 다시 뛰다! : 중앙아시아 지역의 형성과 역동성

서명/저자사항
유라시아의 심장 다시 뛰다! : 중앙아시아 지역의 형성과 역동성 / 신범식 , 양승조 , 황영삼 , 고가영 , 정재원 , 김태연 , 김성진 , 김영진 , 조영관 , 윤익중
발행사항
과천 : 진인진 , 2017
형태사항
373 p. : 도표, 지도 ; 25 cm
ISBN
9788963473611
주기사항
참고문헌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M052114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M05211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유라시아의 중심부인 중앙아시아가 ‘지역’으로서 형성해 가는 과정을 소개한 학술연구서 『유라시아의 심장 다시 뛰다! : 중앙아시아 지역의 형성과 역동성』이 발간되었습니다. 본서는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산하 중앙아시아센터가 ‘2015년도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의 아시아 연구기반 구축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 작업의 성과물로서, 지난 2015년 발간된 『중국의 부상과 중앙아시아』에 이어 <세계 속의 아시아연구 시리즈> 2권으로 발간되었습니다.

<세계 속의 아시아연구 시리즈> 1권인 『중국의 부상과 중앙아시아』이 중국의 개방화에 따른 발전과정 맥락에서 중국의 대외관계의 한 측면으로 중앙아시아 5개국을 다루었다고 한다면, 이번에 발간된 『유라시아의 심장 다시 뛰다! : 중앙아시아 지역의 형성과 역동성』은 중앙아시아를 연구의 중심주제로 설정하여, 중앙아시아가 하나의 ‘지역’으로서 형성되어 가는 과정을 역사적 경험, 상호작용의 역동성, 강대국의 각축과 역내 국가들의 대응이라는 세가지 측면에서 본격적으로 연구했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유라시아의 심장 다시 뛰다! : 중앙아시아 지역의 형성과 역동성』은 3개의 부로 구성되었는데, I부 ‘중앙아시아 근대민족국가 형성의 역사적 유산들’에서는 19세기 말 20세기 초 중앙아시아에서 근대민족국가들이 형성되고 소비에트 연방국 편입에 의해 지체되었다가 소련 해체 이후 새로운 형태로 형성되는 과정을 3개의 장에 나누어 다루고 있습니다. II부 ‘중앙아시아 지역정치의 역동성’에는 중앙아시아 지역 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분야에 걸친 급격한 변동 양상을 4개의 장으로 나누어 기술하고 있습니다.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진행되고 종교적, 민족적, 경제적 요인으로 국가별, 국가간 이슈들을 타지키스탄 내전, 키르키스스탄 오쉬 사태, 중앙아시아 내부 여성이주, 키르키스스탄을 중심으로 한 이주와 송금경제 등을 주제로 삼아 소개합니다. III부 ‘중앙아시아를 둘러싼 강대국 정치와 지전락적 동화’는 중국, 미국, 러시아 등 강대국과 중앙아시아지역의 국제 관계를 소개합니다. 지역 개발은행의 역할, 미-러관계와 중앙아시아의 관련성 및 중앙아시아 지역 정치를 관통하는 강대국의 영향력 등을 주제로 하고 있습니다. 각 장은 중앙아시아 지역의 전문 연구자 10명이 참여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유라시아의 심장 다시 뛰다! : 중앙아시아 지역의 형성과 역동성』은 해당 지역의 전문 연구자들을 위한 학술서이지만, 이 지역에 대한 지식을 필요로 하는 모든 이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실용서로서 유용할 것입니다.
목차

감사의 말_5
서장_신범식_7

Ⅰ 중앙아시아 근대 민족국가 형성의 역사적 유산들

01 19세기 후반 중앙아시아를 둘러싼 강대국 대결과 부하라 아미르국_양승조_23

02 20세기 초 투르크멘 공화국 체제의 출범_황영삼_65

03 크림 타타르인의 중앙아시아로의 강제이주와 귀환운동_고가영_101


Ⅱ 중앙아시아 지역정치의 역동성

04 민족주의, 이슬람 그리고 민주주의: 타지키스탄 내전과 그 이후_정재원_157

05 1990년 및 2010년 키르기스스탄 오쉬 사태의 발발 기제_김태연_193

06 중앙아시아 여성이주에 대한 비경제적 요인의 영향_김성진_229

07 중앙아시아 이주와 송금경제: 키르기스스탄 사례_김영진_261


Ⅲ 중앙아시아를 둘러싼 강대국 정치와 지전략적 동학

08 중앙아시아 지역개발을 위한 유라시아개발은행의 역할_조영관_287

09 푸틴-오바마 시기 러시아-미국 관계와 중앙아시아_윤익중_309

10 강대국 영향력과 중앙아시아 지역 정치 변동_신범식_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