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SNU일본연구총서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총서 022

다문화사회 일본과 정체성 정치

서명/저자사항
다문화사회 일본과 정체성 정치 / 권숙인 엮음
발행사항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0
형태사항
345 p. : 삽화 ; 23 cm.
ISBN
9788952111104
주기사항
지은이: 권숙인, 한영혜, 조아라, 신기영, 김백영, 아사노 신이치, 통얀, 와타도 이치로 각 장마다 참고문헌 및 찾아보기(p. 331-338) 수록 이 연구는 2007년도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일본학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았음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M038584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M03858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머리말

서장 일본의 '다민족·다문화화'와 일본연구
_다문화 일본 연구의 이론적 함의와 가능성 : 권숙인
1. '다문화 일본'과 일본 연구
2. 초국가적 관점과 이주 연구
3. '다문화 일본'의 주요 연구 영역과 쟁점들
4. 일본 연구의 '탈중심화'와 보편화

1부 정체성

1장 '민족명'사용을 통해 보는 재일조선인의 정체성
_디아스포라와 '민족'의 새로운 의미 : 한영혜
1. 재일조선인의 이름 문제
2. '민족명-일본명'의 이중구조
3. 억압된 정체성의 회복: '민족명'
4. '민족명'의 실제 모습: 경계넘기와 혼성의 가능성
5. 민족명의 계승
6. '민족'의 또 다른 의미

2장 일본의 아이누 문화정책과 소수민족 정체성 : 조아라
1. 다문화주의와 선주민족, 아이누
2. 아이누 민족문화 보존운동
3. 아이누 문화진흥법과 탈정치화
4. 민족문화의 의미와 저항의 문화정치
5. 아이누 민족 정체성의 전망

3장 지진과 공동체, 파괴와 재건
_고베시 나가타구 다문화 커뮤니티의 형성과 변화 : 김백영
1. 지진과 일본의 도시사회
2. 고베의 국제도시화와 나가타구의 다문화 커뮤니티 형성
3. 일본형 도시재생과 재해복구의 동학
4. '도시재생'과 '생활재건'의 간극
5. 재해복구운동에서 다문화공생운동으로
6. '다문화공생'의 새로운 가능성

2부 시민권

4장 중국잔류일본인 고아를 통해 본 인간발달과 공공성
_비판적 국민주의오 탈국민국가 : 아사노 신이치·통얀
1. 중국잔류일본인 고아의 인간상을 둘러싼 논의
2. '일본인이라는 것'의 숙명: 최초의 기민
3. '일본인 되기'를 추구함: 제2차 기민
4. '일본인 됨'으리 추구: 제 3차 기민
5. 다양한 주체적인 국민상과 국가배상소송: 비판적 국민화와 탈국민화
6. 승소: 새로운 지원책과 그 한계

5장 초국가적 이주와 다문화사회의 시민권
_필리핀 여성의 일본 이주오 국제혼외자의 국적 문제를 중심으로 : 신기영
1. 국제혼외자 소송의 문제제기
2. 필리핀 엔터테이너의 일본으로의 이주
3. 국제혼외자의 국적
4. 국제혼외자와 가족제도
5. 다민족 통합사회로의 가능성?

6장 외국인 집단거주지역에서 '로컬한 공공성 재구축'의 의미
_브라질인의 집단거주단지를 사례로 : 와타도 이치로
1. 외국인 집주지역에서의 로컬한 공공성의 재구축
2. 비정규 노동자로서의 일본계 브라질인 이민
3. 외국인 집단거주지구 이와타시 M지구: 공영주택에서 외국인과 공생하기 위한 실천
4. 로컬한 공공성의 재구축 과정
5. '다문화공생'정책 혹은 '사회통합'정책 확립을 향해서

종장 다민족·다문화 일본과 정체성의 재구축 : 한영혜
1. 일본의 새로운 마이너리티와 '다문화공생' 담론
2. 중국귀국자
3. 일계인(日系人)
4. 재일조선인
5. 경계넘기와 경계짓기: 제도, 생활, 뿌리

찾아보기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