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북한문학예술 4

선전과 교양: 북한의 문예교육=education of art & literature in North Korea

Propaganda and culture

서명/저자사항
선전과 교양: 북한의 문예교육= education of art & literature in North Korea/ 단국대학교부설 한국문화기술연구소 편
대등서명
Propaganda and culture
단체저자
단국대학교 한국문화기술연구소
발행사항
광명 : 경진출판, 2013
형태사항
279 p. : 삽화, 악보 ; 24 cm
총서사항
북한문학예술 4
ISBN
9788959962181
주기사항
지은이: 강상대, 김미진, 김선아, 김정수, 김혜정, 박소현, 배인교, 임옥규, 전영선 서지적 각주 수록 참고문헌 및 색인 수록 이 책은 2008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M044781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M04478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이 연구서는 남북 문예교육의 차이를 확인하면서 동시에 남북문예의 소통을 위한 최소한의 접점을 모색하고자 하는 시도다. 이러한 작업은 크게 세 가지 갈래로 나뉜다. 1부 '북한 문예교육의 체계와 이념'에서는 북한 문예교육의 이념과 제도적 실천 양상을 확인할 수 있고, 2부 '예술가 양성과 인민교양'은 연극, 음악, 영화 등 문예 각 분야의 교육과 선전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3부 '남북한 문예교육의 접점'은 남북 문예교육의 공통소를 찾고 그 공통소가 남북의 서로 다른 문맥 속에서 어떻게 (재)배치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한편 그러한 공통소가 장래 남북 문예의 소통과 교류에 활용될 가능성을 모색하게 될 것이다. 이것은 한편으로 전통에 대한 남북의 상이한 해석을 확인하는 일이면서 동시에 남북이 공유하는 전통을 매개로 통일시대 문예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일이 될 것이다.
북한 문예교육의 여러 양상을 꼼꼼하게 검토하는 작업은 남북한 문화적 소통의 중요한 선결 작업이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일이다. 이 연구는 무엇보다 북한 문학, 연극, 음악, 영화 분야에서 전문가로 자리를 굳힌 전문연구자들의 주제 연구를 한 자리에 모아 그 양상을 보다 다양한 지평에서 관찰하는 작업이라는 의의가 있다.

저자소개

강상대 단국대학교 예술대학 문예창작과 교수
김미진 단국대학교 부설 한국문화기술연구소 연구교수
김선아 영상예술학회 학술이사
김정수 단국대학교 부설 한국문화기술연구소 연구교수
김혜정 경인교육대학교 음악교육과 교수
박소현 영남대학교 음악대학 음악학부 교수
배인교 단국대학교 부설 한국문화기술연구소 연구교수
임옥규 단국대학교 부설 한국문화기술연구소 연구교수
전영선 건국대학교 HK 연구교수
목차

책머리에

1부 북한 문예교육의 체계와 이념

북한의 예술교육체계와 예술교육 기관
_[전영선]
1. 북한의 예술인 교육
2. 예술인 양성과 대우
3. 예술인 양성 기관: 예술대학
4. 예술인의 사회적 지위

북한 문학교육 양상과 전망
_[임옥규]
1. 북한 사회체제 변화와 문학교육 위상
2. 북한 문학 관련 교과서 체계와 변모
3. 북한 문학교육의 지향점과 문제점
4. 김정은 시대 문학교육 전망

‘전반적11년제의무교육’의 정치적 함의
_[김미진]
1. 북한의 교육체계
2. 정치사상교육의 운영 실태
3. 문학 교과서에 나타난 정치사상교육
4. 북한의 혁명교육과 미래 전망

민요를 통한 북한 음악교육의 지향
_[배인교]
1. 북한 교육과정 속의 음악수업과 교과서
2. 고등중학교 음악교과서의 민요 이론 교육
3. 기악 감상 가창 영역의 민요 제재곡 분석
4. 북한 민요교육의 지향
5. 북한의 민요교육 현황과 조선민족제일주의

2부 예술가 양성과 인민교양

인민배우 황철의 연기훈련법(演技訓練法)
: 화술훈련을 중심으로_[김정수]
1. 예술이란?
2. 발성을 위한 기초훈련
3. 대사창조를 위한 연기훈련
4. 신비의 거부

북한 가야금과 몽골 야탁의 교본
_[박소현]
1. 북한 가야금 연주자 김종암과 몽골 야탁
2. 연주 자세
3. 조율법
4. 오른손 연주법
5. 왼손 연주법
6. 유형의 매개물을 공유한 북한과 몽골

<한 녀학생의 일기>를 통해 본 북한영화 관객성 연구
_[김선아]
1. 영화 텍스트와 수용
2. 북한 영화인: 목적론에서 정서론으로
3. 북한 관객: 보다 나은 미래라는 허상
4. 비북한 관객: 기호의 왕국
5. 월드 시네마로서의 >한 녀학생의 일기>

3부 남북한 문예교육의 접점

서사의 이데올로기적 변형과 계급교양
: <평양지>(1957)의 '록족 부인'을 중심으로_[강상대]
1. 원형 심상과 분단
2. ‘녹족부인’ 서사의 전승 양상과 내용
3. '록족 부인(가)'의 서사 구성과 성격
4. '록족 부인(나)'의 서사 구성과 성격
5. 문화분단과 ‘원형성’의 복구

통일대비 국악교육을 위한 북한민요 연구
_[김혜정]
1. 문화적인 동질성을 찾기 위한 북한 민요교육의 필요성
2. 북한지역 민요교육 현황 및 문제점
3. 북한민요의 장르별.기능별 분류와 음악적 특성
4. 초등 교과서의 북한민요 제재곡 선정 기준과 방법
5. 북한 민요교육의 개선 방안

찾아보기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