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한국 농촌지역 자살에 대한 심리부검 연구(An Study of Psychological Autopsy of Suicides in Korean Rural Area)

개인저자
최명민
수록페이지
55-81 p.
발행일자
2015.02.28
출판사
韓國社會福祉學會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자살사망자가 많은 한국사회 중에서도 자살률이 높은 농촌지역 자살사건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경로를 파악하고 이에 기반을 둔 자살예방 대책을 강구하기 위하여 자살원인을 후향적으로조사하는 심리부검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개인의 심리적 측면 뿐 아니라 사회문화적 요인에 초점을두며 유가족 지원사업을 병행하도록 기획되었다는 점에서 기존의 심리부검연구들과 차별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유가족이 동의한 25사례를 조사분석한 결과 농촌지역 자살위기자의 전형적 특성을 파악하고 남성노인, 여성노인, 청장년층 귀향자 유형에 따른 사회문화적 영향요인을 규명할 수 있었다. 그리고 자살원인과 경로를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농촌지역 자살의 심리사회적 요인 상호작용 모형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장단기별 농촌지역 자살예방 대책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With the psychological autopsy, an analytical method of backward reasoningfor individual case of suicid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auses and routeof individual suicides in Korean rural areas, which has long had a bad reputationof world-wide high rate of suicide. The compound approach of the study whichcombines the psychological and socio-cultural aspects concerning suicidesimultaneously, is able to make this study clearly distinguished from existingrelated inquires and results. Analysis of 25 suicide cases could make clear the typical characters of riskygroup of suicide in rural area and elucidate the obvious socio-cultural impact onsuicide respective of several suicide type, for example, male and female elderly,homecoming youth etc. Then, the psycho-social interactive model to account forrural area suicide adequately could be established as a final result of the study. In addi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everal counter-plans toprevent the suicide-committing of the risky groups are suggested in short-termand long-term bases as w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