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한국 다문화 중도입국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한국인 부모가정)의 진로정체감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The Factors Affecting Vocational Identity : Comparing Korean Immigrant Adolescents and Non-Immigrant Adolescents(Korean parents family))
- 개인저자
- 유비
- 수록페이지
- 5-29 p.
- 발행일자
- 2015.02.28
- 출판사
- 韓國社會福祉學會
초록
다문화 중도입국 청소년들에게 진로발달은 한국 사회적응과 사회적 배제의 완화를 직·간접적으로 돕는 요인이며 진로정체감은 진로발달을 고취시키는 핵심적인 요소로 평가된다. 이에 본 연구는 이들의진로정체감발달과 연관된 요인으로써 차별, 우울, 자존감의 관계를 한국인 부모를 둔 비 빈곤 청소년및 빈곤 청소년과 비교하였다. 주요 연구결과 첫째, 변수들의 평균분석에서 중도입국 청소년들은 비빈곤 청소년들에 비해 우울이 높고 자존감이 낮은 특성을 보였다. 둘째, 경로분석과 다중집단 분석에서 중도입국 청소년들의 차별경험은 진로정체감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고 우울과 자존감을 매개하는 영향력 역시 나타냈다. 그러나 비 빈곤 청소년과 빈곤 청소년들의 경우는 차별이 우울과 자존감을 매개하는 효과만을 나타냈다. 이를 토대로 중도입국 청소년들의 진로발달을 위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논하였다.
Career development of Korean Immigrant Adolescents is important elementfor their Korea social adjustment and reduction of social exclusion. Especially,vocational identity is considered significantly for their career development. This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nd levels of discrimination, depression,self-esteem on vocational identity by comparing Korean immigrant adolescentsand non-Immigrant adolescents(Korean parents family: non poor family or poorfamil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depression level of immigrant adolescents is higher than non poor familyadolescents and their self-esteem level is lower than non poor family adolescentsby means analysis. second, The path analysis and multi group analysis showedthat the degree of discrimination by perceived immigrant adolescents had directinfluence on vocational identity and also mediated depression, self-esteem asindirect influence. But non poor family adolescents and poor family adolescentsshowed that their degree of discrimination had only indirect influence onvocational identity as mediation of depression, self-esteem. The result of analysiswere used to discuss theoretical, practical implication for career development ofKorea immigrant adolesc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