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성폭력 피해 아동・청소년이 2차 피해로 인지한 경험 연구(A empirical Study of Secondary Victimization Among Sexually Abused Children and Adolescents)

개인저자
채현숙
수록페이지
117-140 p.
발행일자
2016.02.28
출판사
韓國社會福祉學會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성폭력 피해 아동・청소년이 인지하는 2차 피해의 경험을 보다 깊이 있게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차 피해 경험이 있다고 스스로 인지하고 있는 성폭력 피해 아동・청소년 6명을 연구참여자로 섭외하였고, 2〜4회에 걸친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olaizzi가 제시한 분석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상처 위에 소금 뿌리는 가해자’, ‘비빌 언덕조차 되어주지 않는 가족’, ‘울타리가 무너진 학교’, ‘상처를 덧내는 사법기관’, ‘믿었던 도끼로 발등 찍는 상담원’, ‘강 건너 불구경하는 이웃’이라는 6개 하위범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아동․청소년이 경험하는 2차 피해는 성폭력이라는 1차 피해 후에 ‘이중삼중으로 밀려오는 후폭풍’과 같은 경험으로 드러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아동․청소년 성폭력 2차 피해 예방을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n depth experience of child secondary victimization after sexual violence incident. In order to achieve this study goal, this study contact six child who experienced sexual abuse and acknowledged secondary victimization, and collected data by indepth interview about 2〜4 times. collected data was analysed by Colaizzi's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draw six subcategories. Six subcategories are 'school to collapse protective device', 'family not to depend on' 'judicial authority to fester a wound' 'assailant to rub salt into a wound', and the people around him merely looked on. secondary victimization of child sex abuse victims signify experience to give menace such as huge blow after first victimization. Based on result of analysis, this study suggest and implication of social welfare to prevent Secondary Victimization of sexual violence victim chi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