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지역사회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과 빈곤아동 발달(Community Orchestra Educational Activities and Development of Poor Children)
- 개인저자
- 안은미
- 수록페이지
- 225-248 p.
- 발행일자
- 2016.02.28
- 출판사
- 韓國社會福祉學會
초록
본 연구는 서울시립교향악단의 「우리동네 오케스트라 학습영향평가」를 위해 수집된 종단 자료를 사용하여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운영하는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이 빈곤아동의 발달에 미치는 효과와 그 효과를 촉진하는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 요소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빈곤 아동의 발달부분인 우울, 공격성, 공동체성, 대인관계와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 효과를 촉진시키는 활동요소인 평가, 만족, 외부의 관심과 참여를 주요 변수로 구성하여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과 빈곤아동발달에 관한 잠재성장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 효과로 빈곤아동의 우울, 공격성, 대인관계에 의미 있는 긍정적 발달을 보였다. 또한 아동발달궤적의 조건모형에서 음악평가는 공동체성의 변화율에, 태도평가는 우울과 공격성, 공동체성의 초기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만족은 공동체성과 대인관계의 초기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관심과 참여는 공격성 초기치에 부정적 영향을, 지역사회 관심과 참여는 우울과 공격성 초기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에 참여하는 빈곤아동의 발달에 관한 이해를 돕고 사회복지사의 직접적인 개입의 실천적 근거를 제공하고, 사회복지계, 문화예술계, 교육계 등의 빈곤층 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여 빈곤아동 발달의 증진에 기여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n development of poor children by community-based orchestra educational activities and the orchestra educational activities factors for promoting the effects using longitudinal data are those collected for ⌜The Evaluation of the Impact of Our Neighborhood Orchestra on Children’s Learning⌟ made by the Seoul Philharmonic Orchestra.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employed a latent growth model analysis of the factors such as depression, aggressive behavior, communa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development of poor children and evaluation , satisfaction, outsiders’attention and participation of facilitative factors. The result shows that they displayed significantly positive development in depression, aggressive behavior,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t appears that the evaluation on music achievement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rate of change in communality, while the evaluation on attitude had an impact in the initial value of depression, aggressive behavior, and communality, also the sense of satisfac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initial value of communa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conditional models. And parents’ attention and participation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initial value of aggressive behavior, while the attention and participation of the community showed a positive impact on the initial value of depression and aggressive behavior.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attempted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of poor children taking part in orchestra-based educational activities and provide a practical basis for social workers’ direct invention, and look for new ways by shedding light on the merits of the cultural/art education of poor children that engage in the community-based orchestra educational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