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사회복지학 연구동향에 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Keyword Network Analysis about the Trends of Social Welfare Researches - focused on the papers of KJSW during 1979~2015 -)
- 개인저자
- 감정기
- 수록페이지
- 185-211 p.
- 발행일자
- 2016.05.28
- 출판사
- 韓國社會福祉學會
초록
이 연구는 「한국사회복지학회」의 학회지에 1979년 창간호에서부터 2015년까지 게재된 논문들의 키워드를 분석함으로써 국내 사회복지학의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 연구이다. 전체시기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이를 두 시기로 나눈 분석을 병행함으로써 연구의 동향을 밝혀보게 된다. 연구의 가닥은 크게 셋으로 나뉜다. 첫째는 연구방법의 동향으로서, 질적, 양적 및 문헌연구의 비중이 시기별로 변화된 양상을 개관한다. 둘째는 연구주제의 동향으로서, 시기별 키워드 출현빈도의 추이를 분석한다. 셋째는 지적 구조의 동향으로서, 키워드들의 중심성 지수의 변화를 살펴본 후에, 이들 사이의 관계를 분석해주는 패스파인더 알고리즘 및 네트워크 구조를 도식적으로 구현해주는 노드엑셀 프로그램 등을 활용하여 사회복지학 지적 구조의 흐름을 밝힌다. 끝으로, 이러한 분석결과들에 내포된 함의를 검토해 본다.
This study analyzes key word networks of the papers which are published at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issued by Korean Academy of Social Welfare from 1979 to 2015. It aims at investigating the trends of social welfare researches in Korea by dividing the given period into two: 1979-2000 and 2001-2015. It shows the trends in three ways: methodologies, subjects, and intellectual structures. In order to identify intellectual structure, it calculate centrality indices basing on co-appearance frequency of key words. It also derives some values which explain relationship structure of key words by using pathfinder algorithm, and finally visualizes the intellectual structures by using the NodeXL program. Som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f these analyses are discussed in the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