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주거비 과부담 결정요인(The Determinants of Housing Affordability)
- 개인저자
- 임세희
- 수록페이지
- 29-50 p.
- 발행일자
- 2016.08.28
- 출판사
- 韓國社會福祉學會
초록
본 연구는 주거비과부담 결정요인을 가구와 주거 특성뿐만 아니라 지역 특성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전국 약 2만 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4년 주거실태조사를 활용하여 위계적 일반 선형 모형으로 다층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가구주가 남성일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월세가구일수록, 주거환경에 만족할수록, 주거비과부담의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반면에 가구소득이 증가할수록, 기초보장가구일수록, 최저주거기준미달일수록, 전세가구일수록 주거비과부담 가능성이 감소하였다. 주거비과부담여부에는 유의미한 지역간 분산이 존재하였으며, 지역의 평균 월임대료와 중위 주택가격이 높을수록 개별가구의 주거비과부담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또 공공임대주택비율이 전국평균보다 높은 지역만을 추가분석한 결과 지역의 공공임대주택비율이 증가하면 개별가구의 주거비과부담 가능성이 감소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주거비과부담 위험에 노출된 가구 및 주거 특성을 알 수 있었으며 주택가격 상승 억제 및 임대료 규제의 필요성과 공공임대주택 확대의 효과성을 확인하고 주거복지정책에 대한 함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determinants of housing affordability using the 2014 fact-finding survey of housing.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s of characters of districts as well as the effects of characters of family and housing, taking advantage of HGLM(Hierarchical General Linear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ale householder, higher education level, the monthly housing, higher satisfaction of environment of housing are the factors that increased the odds of living at unaffordable housing, but higher income, public transfer recipient, living at sub-standard housing, the Jensei housing are the factors that decreased the odds of living at unaffordable housing. And the higher housing price, the higher rent of the districts increased significantly the odds of living at unaffordable housing, but the higher rate of public housing of the districts decreased the odds of living at unaffordable housing. This study provides the basis that the price of housing and rent should be controled and the policy of public housing should be expanded for housing welf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