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사회복지관에서의 사례관리 체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An Exploratory Study on the Operating System of Case Management of Community Welfare Center)
- 개인저자
- 하경희, 김진숙
- 수록페이지
- 241-270 p.
- 발행일자
- 2014.05.28
- 출판사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관의 사례관리 체계를 파악하고 향후 실천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사회복지관을 대상으로 총 96개의 설문지를 수거하여 분석하였으며, 사례관리 체계 현황을 조직, 서비스, 사례관리자, 클라이언트 요소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조직요소에서는 전담조직을 대부분 갖추고 있으나 전담직원이 있는 경우는 적었으며 사례관리 이외의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서비스 요소에서는 가정방문을 통한 접촉, 복지관내 연계가 가장 많았고, 정신건강과 직업 서비스는 현재 제공되는 수준과 필요한 수준 간의 차이가 큰 것으로 지적되었다. 사례관리 수행의 어려움으로는 업무과중으로 질적인 사례관리의 어려움, 대상자의 무력감, 자원의 부족 등이 지적되었다. 셋째, 사례관리자 요소에서는 팀장과 팀원이 업무비중 절반 이상으로 담당하고 있었으며, 이들은 대부분 1급 자격이 있으나 경력은 비교적 짧았다. 관장과 부장은 자문에 참여하는 비율이 높았다. 넷째, 대상자 요소에서는 등록 수에서 큰 편차를 보였고 명확한 분류체계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사회복지관 사례관리 모형구축을 위한 기능 연계, 조직 체계변화, 대상자 정의, 수퍼바이저 교육, 자원 개발 등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peration system of case management in community welfare cent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sed the data collected survey on the 96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Seoul, Kyunggi-Do, and Incheon-Si. We considered case management system in terms of four factors-organization, services, case manager, client. As the result,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mostly have an independent division for case management but did not assign dedicated staff members. Second, most clients are contacted through home visits and be referred internal service. Mental health and vocational services is very necessary, but insufficient. Social work case managers are concerned about quality of case management, client""s helplessness, and a scarcity of resources. Third, team leader and team members were primarily responsible for case management. They were certified the licensed social worker(grade 1) but their career was relatively short. Director and head of department are involved in consulting at high percentage. Finally, there are much variance between the number of case management enrollee and not consistent and concrete evaluation system. Based on these analyses, we suggest functional linkage, system change, client definition, training for supervisor, resource development for the case management model in community welfare 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