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종합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A Phenomenological Study on Experiences in Social Worker's Emotional Labor: Focusing o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 개인저자
- 김혜진
- 수록페이지
- 163~195 (33 pages)
- 발행일자
- 2014.11.28
- 출판사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emotional labor from the Giorgi's phenomenological approach. In the line with that,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0 community welfare center’s social workers who have worked for at least 2 years. Each interview was recorded with the participants' consents to collect meaningful exploratory data. Results suggests that social worker's emotional labor might have been explained by 6 core-elements and 15 sub-elements, respectively. The 6 core-elements were as follows; 1) being felt transferred clients’burdensome lives; 2) being felt gap between ideal and reality in the social work practice; 3) finding meaningful reasons as a social worker; 4) coping strategy to deal with emotional eruption; 5) being felt emotionally drained; 6) continuing adaptation.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and policy are suggested.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가 경험하는 감정노동의 실체에 대해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그 의미를 파악․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 4월부터 5월까지 서울시 내 종합사회복지관에서 근무하는 경력 2년 이상의 사회복지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내용은 참여자들의 동의를 바탕으로 녹취하여 기초자료로써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 사회복지사 감정노동 경험의 구성요소는 ‘클라이언트의 삶이 내게 온다는 무게감’, ‘사회복지사로서 꿈꿔왔던 이상이 현실이라는 벽에 부딪힘’, ‘사회복지사로서의 의미 찾기’, ‘끊임없는 감정컨트롤 상황을 마주대하는 전략’, ‘에너지 고갈로 인해 열정이 사그라듬’, ‘계속되는 적응’등의 6개 중심의미와 15개 하위구성요소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과 관련한 정책적․실천적 대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