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베이비붐 세대의 가족특성이 경제적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연구(A Study on economic preparation for the elderly life of baby-boomers focused on families’ characteristics)
- 개인저자
- 김정미
- 수록페이지
- 197~221(25 pages)
- 발행일자
- 2014.11.28
- 출판사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초록
본 연구는 Modigliani(1966)의 생애주기가설(life-cycle hypothesis)을 기반으로 하여 가족특성을 부모요인, 자녀요인, 부부요인으로 정의하고 각각의 하위요인을 선정하여 이 요인들이 경제적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분석 자료는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조사한 2010년 제3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자료를 이용하였다. 2010년 9월부터 11월까지 조사가 이루어진 7,920명 중 베이비붐 세대에 해당하는 1,466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베이비붐 세대의 경제적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부모요인 중에서는 부모지원, 자녀요인 중에서는 자녀수와 교육비 지출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에게 지원하는 경우 지원하지 않는 경우보다 경제적 노후준비를 더 잘하고 있었으며, 자녀 수가 1명 증가할 때 경제적 노후준비가 감소하여 자녀수가 경제적 노후준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비 지출이 증가할 때 경제적 노후준비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높은 수준의 교육비 부담은 경제적 여건에 따라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자녀에 대한 교육비 부담의 완화는 노후준비를 위한 중요한 대책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aimed to identify how the family characteristics, that is parent(s), children and couple factors, have certain effects onto their economic preparation of elderly life. Each factors are divided into those sub-variables that are influenced on the economic preparation of elderly life respectively. The analysis data used in this study is from the 3rd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2010, performed by the Korea Labor Institute (KLI). The KLoSA was made on September through November 2010 and dealt with 7,920 persons. This study only deals with 1,466 persons whose ages are falling under the baby-boomers. The study has generated a number of significant findings and noticeable results.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economic preparation for elderly life are financial support in parent(s) factor, quantity and educational cost of children in child factor and they a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words, who are supporting parents infers better-preparation of elderly life than who don’t and having one more children has adversely affect on the preparation of elderly life. In addition, spending high education cost is very proportional to increasing number of preparation of elderly life. As the result of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higher educational cost has spent, the more financial and affordable preparation of elderly life via holding a variety of pension plan has achieved. Mitigation of the educational cost can be therefore an important countermeasure on the prep of elderly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