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사회서비스 일자리 질 개선 방안 연구(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Employment in Social Service -Focu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market economy system and social economy system-)
- 개인저자
- 강현주
- 수록페이지
- 31-58 p.
- 발행일자
- 2015.05.28
- 출판사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초록
사회서비스 일자리는 급속한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질적 측면에서는 근로빈곤을 양산하고 불안정 노동을 구조화시키는 질 낮은 일자리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에 대해 민간시장 중심 공급체제의 한계라는 지적과 함께 사회적경제가 하나의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서비스 공급주체로서 사회적경제조직과 시장경제조직을 9개 일자리 질 측정지표를 통해 비교분석하고, 어떤 요소가 사회서비스 일자리 질 개선에 영향요인으로 작용하는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2014. 9. 10~ 2014. 11.10 동안 경기도 지역사회서비스 제공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시장경제조직 종사자 105명, 사회적경제조직 종사자 375명의 응답을 활용하여 t검정,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경제조직이 임금, 고용안정, 일ㆍ가정양립, 사회보장 부문에서 시장경제조직 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고 일자리 만족도에서도 사회적경제 조직이 더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일자리 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시장경제는 고용안정, 일ㆍ가정양립 변수가, 사회적경제는 성별, 연령, 성과급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고용안정을 위한 제도적 인센티브 마련, 체계적인 교육훈련 강화 등 사회서비스 일자리 질 개선을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Currently, issue on the quality of employment in Social Service has been raised consistently, though quantitative employment has been expanded greatly. Employment quality degradation has made an enlargement of working poor and systematization of unstable job and said that these are caused by defect in the market economy system.
This study examined market economy system and social economy system using job measurement indicators, which system is positioned relatively high and which predictive factors affect improvement on the quality of employment.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community based social service providers in Gyeong-gi province for 2014. 9. 10 ~ 2014. 11.10 and data-set of the 105 market economic system workers and 375 social economic system workers were used in statistical analysis.
Main Findings were that social economic system workers is higher than market economic system workers in wage, employment security, work-family balance, social security and job satisfaction.
Predictive factors of job satisfaction were employment security, work-family balance in market economy system and differently gender, age, performance pay in social economy system Sever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employment based on these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