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개인과 조직 간의 가치적합성이 사회복지사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내면행위의 매개역할(The Effect of Person-Organizational Value Fit on Social Worker's Job Attitudes and the Mediating Role of Deep Acting)

개인저자
신중환
수록페이지
85-121 p.
발행일자
2015.11.28
출판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개인과 조직 간의 가치적합성이 그들의 직무태도(직무만족, 정서적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과 그 과정에서 내면행위의 매개역할을 보다 객관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그리고 부가적으로 개인과 조직 간의 가치적합성이 내면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선행변수가 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가치를 하위항목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항목별로 사회복지사 개인이 추구하는 가치(개인가치)와 조직에서 실제로 지각한 가치(조직가치)를 각각 응답받아서 다차항 매개회귀분석과 반응표면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개인과 조직 간의 가치적합성은 내면행위와 직무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내면행위는 가치적합성이 직무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추가분석을 실시하여 하위항목별로 개인가치와 조직가치가 사회복지사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son-organization value fit(P-O fit) on social worker's job attitudes(job satisfaction, affective commitment, OCB) and the mediating role of deep acting of social worker, and from these results, to draw an inference that P-O fit can be a precedent variable of deep acting. This study categorizes the sub-items of organizational values, makes each values surveyed by each social workers as personally pursuing values and perceived values, and analyses hypotheses using polynomial regression an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he analyse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P-O fit positively affects social worker's deep acting, job satisfaction, affective commitment, and OCB. Secondly, deep acting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O fit and job satisfaction, and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O fit and affective commit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O fit and OCB. Based on these results and additional analyses,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