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민간어린이집 보육교사의 동료신뢰 결정요인 확인을 위한 사회연결망분석(The Study on the Formation Factors of Colleagues Trust based on Role Implementation as Leader of the Private Child-Care Teachers)

개인저자
이재무
수록페이지
27-55 p.
발행일자
2016.11.28
출판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초록
본 연구는 무상보육정책의 전면 시행에 따라 그 의미가 부각되고 있으며, 국내 보육시설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민간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조직 및 인사관리 측면의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민간어린이집 보육교사의 동료신뢰 결정요인을 확인하는 분석에 초점을 맞추었다. 보육교사는 어린이집에서 영유아의 보호와 교육이라는 가장 핵심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존재이며, 보육교사들 간 확고한 동료신뢰 관계형성이 직무만족과 성과를 증진시켜 바람직한 보육활동을 영위하게 해준다는 선행연구의 정보에서 착안한 결과이다. 즉 보육교사가 동료신뢰를 형성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그 요인을 배양하도록 전략적으로 촉진하고 그를 통해 보다 바람직한 영유아 보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하에 본 연구는 상호 연관 관계를 체결하고 있는 구성원들 사이의 동료신뢰 속성을 설명하는데 가장 유용하다고 인정받는 사회연결망분석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서울시에 주재하는 10개소 민간어린이집에서 재직하고 있는 177명의 보육교사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동료신뢰 관계 상 리더로 인정받으며 중재를 담당하는 중개자로서 보육교사는 평균 40.5%의 연결정도표준화지수, 19.8%의 매개표준화지수, 여성, 40대 미만의 연령, 5년 이상 7년 미만의 경력자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사회적 존재감을 낮게 가지고 있을 뿐 모든 사회적 성격을 높게 가지고 있었다. 이들의 동료신뢰 형성요인은 솔직한 말과 행동이었고 투철한 책임감 역시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This study targeting child care teachers at private daycare centers whose existence gets more attention as free child care is provided in a full-blown way, analyzes the teachers' social network to verify their trust network generated through exercising their leadership and the personal features and factors forming trust among colleagues owned by those the most trusted by colleagues.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child care teachers trusted as leaders in colleague trust relation and as mediators in charge of intercession, have average 40.5% of degree centrality standardization level index parameter, 19.8% of betweenness centrality standardization level index parameter, are female, aged below their forties, and experienced for more than 5 less than 7 years. Though they own low sense of social stability but high level of all social personalities. Their factors forming colleague trust are candid speech and behavior as well as thorough sense of responsi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