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장애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직무적합성과 직무만족의 관계(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Fitness on Job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nt in a Job Creation Project for Disabilities :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Meaning of Work.)
- 개인저자
- 김준수
- 수록페이지
- 33-55 p.
- 발행일자
- 2017.08.28
- 출판사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초록
이 연구는 장애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한 장애인을 대상으로 개인의 직무적합성과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 관계에서 일의 의미가 갖는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내 장애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는 장애인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79명의 응답을 최종분석에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직무적합성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의 의미가 높을수록 장애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직무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일의 의미는 직무적합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의 직무만족을 높이며, 직무와 장애 특성이 유기적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일자리 개발과 직무환경 조성 등 장애인일자리사업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fitness and job satisfaction of participant in a job creation project for disabilitie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meaning of work. To do this, we surveyed workers with disabilities in Jeollabuk – do and analysis 179 responses. As a result, the higher job fitness of participant,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higher the meaning of work,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of participant in the project. Finally, the meaning of work of the participants was found to mediate the effect of job fitness on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presented recommendations for job creation project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