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사회복지관 주민조직화 사업 영향 요인(The Factors Affecting Community Organizing of Community Centers - Focusing on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in Seoul -)
- 개인저자
- 문혜진
- 수록페이지
- 105-132 p.
- 발행일자
- 2017.11.28
- 출판사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초록
본 연구는 서울시 사회복지관 주민조직화 사업의 전체적인 현황을 파악하고, 기관의 어떤 특성이 주민조직화 사업, 특히 각 기관이 지원하고 있는 주민조직 수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서울시가 인건비 지원기준으로 설정한 기본인력이 수행하고 있는 업무의 양과 사업을 조사한 『사회복지관 기본인력 중심의 사업표준화 연구』의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서울시 사회복지관의 주민조직화 사업에는 17명의 기본인력 중 약 1명의 직무가 투입되고 있었고, 절반의 기관은 1명에도 이르지 못하는 인력이 투입되고 있었다. 주민조직화 사업 중 가장 많은 사업은 나눔 및 봉사를 목적으로 하는 주민조직으로 약 33%를 차지하고 있었다. 다변량 분석결과 주민조직화 사업에 많은 인력이 투입될수록, 지역사회보호 참여 주민 수가 많을수록 주민조직 수가 증가하는 반면 주민조직화 사업의 평균 규모가 클수록 주민조직 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날로 주민조직화 사업이 강조됨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인력이 투입되고 있지 못하는 현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주민조직화 사업의 비선형적 특성과 개별화된 서비스 중심의 사업과 다른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활동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 익명성을 지닌 대규모 행사가 아닌 관계 중심의 주민조직화 사업의 중요성을 제언할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overall status of community organizing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number of community organizations which are supported by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in Seoul. This study is secondary data analysis using the data of『The study on standardization of practices with basic workforce of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which research the amount of work and practice are done by basic workforce.
About 1 worker among 17 basic workforce has committed to community organizing and about 50% of community social welfare has committed less than 1 worker to community organizing. The most frequent practice was community organization for share and voluntary support. which occupied 33% of all community practices.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the number of workers committing to community organizing and residents participating in community protection practice have positively effects but the size of community organizing has negatively effects on the number of community organizations. Although the importance of community organizing has been increased, the fact that the workforce committing to community organizing are not enough is revealed.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non-linearity character of community organizing, education about community organizing for social workers and practice focusing on relationship, not on the size of event for successful community organiz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