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엄마대학원생의 학업(The Phenomenology of the Graduate Student Moms' Study-Childrearing Experiences in the Research Universities in South Korea)

개인저자
서정원
수록페이지
83-118 p.
발행일자
2015.12.16
출판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초록
본 연구가 주목한 엄마대학원생은 엄마와 대학원생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여성으로 그동안 학문적으로 알려진 바가 매우 제한적이었다. 이에 대해연구는 엄마대학원생들의 학업 - 육아 양립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구하고자현상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엄마대학원생은 제한된 시간과 물리적 힘을두고 대학원생의 역할과 엄마의 역할이 경합하는 역할갈등을 경험한다는 것을발견하였다. 엄마대학원생은 우선, 대학원생인 엄마로서 생산과 재생산의 딜레마, 우울감과 자격지심, 모성비난과 자책감을 경험한다. 또 자녀를 보육시설에맡기고 공부를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대해 주변으로부터 받는 나쁜 엄마라는모성비난과 자신의 욕심 때문에 자녀를 희생시킨다는 자책감도 공부하는 엄마이기 때문에 겪게 되는 경험으로 나타났다. 다음, 엄마인 대학원생으로서 대학원동료와 교수의 이해부족을 대면하게 되고, 대학원과 어린이집이라는 상이한시간체계를 살고, 엄마대학원생의 젠더수행이 고려되지 않은 공간에서 모성성의소외를 경험한다. 이러한 발견을 통해 국외의 연구에서 나타난 부분과 유사점도있지만, 국내 대학원 교육의 특성에 따른 상이한 경험들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Graduate student parents are a newly emerging population with the increase of higher education for females; the time period for a female to accumulate human capitals as the next generation of the academia overlaps with the time period for reproduction. Graduate student moms are in charge of both tasks as a graduate student and a mother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government and the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not equipped with the supportive policies and programs for them to help keeping the balance between the different tasks in the academia and home. Therefore, the mothers are under the circumstance of having a lack of understanding from the colleagues and their supervisors. And, they are having a difficulty handling different time schedules of daycare and the graduate school programs. Besides, student moms are marginalized on campus where maternity and gender performances are not considered. Also, their existential distresses, the insecure feeling of not-belonging either group, are reported to have been caused by their financial helplessness, dual duties, and the isolation from the instit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