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50대 여성 그들은 스트레스로부터 자유로운가?(Women in their 50 ' s, are they free from stress? - Comparison depending on the menopause experiences -)

개인저자
김미령
수록페이지
155-179 p.
발행일자
2015.12.16
출판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인생의 발달단계에 여러 가지 변화를 경험하는 50대 여성들의생애사건이 그들의 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연구대상은 여성가족패널 4차 자료(2012) 수집시기에 만50~59세로 폐경을 경험한 여성728명, 5차까지 폐경을 경험하지 않은 여성 194명으로 모두 922명이다. 본연구는 여성가족패널 5차 자료(2014)와의 종단적 연구로 두 시기의 스트레스에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Pearlin et al.(1981)의 스트레스모델을 사용하였으며 대처자원으로는 배우자와의 관계와 배우자와의 활동의 부부변인을 사용하였다. 50대의 폐경경험 유무에 따른 변인들의 차이파악을위하여 두 집단의 차이검증을 하였다. 폐경경험은 50대 여성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스트레스원의 스트레스에의 영향파악을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분리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폐경을 경험한 여성의 우울이 높을수록 스트레스는 높았으며 폐경을 경험하지않은 여성의 경우 건강은 스트레스를 낮추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대처자원의경우도 배우자와의 관계는 50대 여성 모두의 스트레스를 낮추는데 유의한 영향을미쳤다. This study examined the life events of women in their 50's , who experience d various changes in their developmental stages, based on their stress level. The target population was 922 women (728 experienced menopause , 194 had not experienced menopause ). They were ages 50 to 59 in 2012 when the 4th wave women's panal data of Korean Women's Department Institute was collected. As a longitudinal study using 4th and 5th wave data,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the stress. This study used Pearlin's et al's.(1981) stress process model and use d spouse relations as coping variables. For data analysis, the comparison between menopause or no menopause experience was used. Since menopause wa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stress, two separate regressions were used. According to research results, the depressive symptoms were important factors of affecting the stress. However , health was the only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stress for women who did not experience menopause. For both groups the spouse relations were important factors but the activities together with spouse were not significant for both groups. This research indicates t hat the spouse relations were important coping resources for reducing their stress for women in their 50'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