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대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이 성희롱 문제인식과 성희롱 행동경험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s of Gender Egalitarianism On Perceived Seriousness of Sexual Harassment and Sexually Harassing Behaviors)

개인저자
양돈규
수록페이지
73-96 p.
발행일자
2016.12.16
출판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사회적으로 중요한 문제로 등장한 성희롱 문제와 관련하여, 대학생들의 양성평등의식이 성희롱에 대한 문제인식과 성희롱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확인할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연구를 위한 조사는 충북지역 소재 대학에 재학중인 대학생 233명(남 :125, 여 :108)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의분석을 위해 t -검증,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다음과 같다: (1) 양성평등의식과 성희롱 문제인식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양성평등의식과 성희롱 문제인식은 성희롱 행동경험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3) 양성평등의식의 하위요인들이 성희롱 문제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실시한 결과, 가정생활 영역과 이성관계 영역만이 유의미한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성희롱 행동경험에 대해 양성평등의식의 하위요인들이 어떠한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한 결과, 직장생활 영역만이 유의미한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향후 연구의 방향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amine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s of networks to support single-parent families and present measures for operating networks to provide customized support and integrated services in response to policy demands for single-parent families. To examine current state of network, survey data collected from 23 centers that offering social services to single parent families was utilized. To figure out critical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 we conducted focused group interviews with 15 researchers and people concerned. Based on the results of survey and FGI, following strategies were suggested : (1) to facilitate institutions’capabilities for networking, competencies for both staffs and organizations’ toward networking should be strengthened, (2) to meet diverse demands of single parent families, more supportive programs must be developed, and (3) building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public sector is needed for intensify network system to improving supports for single parent famil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