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미취학 자녀를 둔 여성관리자의 직장-가정 간 전이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Impact of Work-Family Spillover on Life Satisfaction of Women Managers with Preschool Childre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 Rearing Satisfaction)

개인저자
최하영
수록페이지
151-191 p.
발행일자
2017.12.31
출판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미취학 자녀를 둔 여성관리자 집단의 직장-가정 전이가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나아가 자녀양육만족도가 직장- 가정 간 전이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여성관리자패널5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최종 분석에는 미취학자녀를 둔 여성관리자420명의 데이터가 사용되었다. 분석방법으로는 SPSS Process macro를활용한 매개효과 검증 및 부트스트래핑을 활용한 통계적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로는 먼저 직장-가정 갈등은 자녀양육만족도에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직장-가정 갈등은 여성관리자의 삶의 만족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녀양육만족도는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직장-가정 갈등과 삶의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직장-가정 촉진은 자녀양육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여성관리자의 삶의 만족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자녀양육만족도는 직장-가정 촉진과 삶의 만족도 사이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직장-가정 갈등과 촉진 모두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자녀양육만족도를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에 따른 제언으로 첫째, 정부와 기업조직은 여성관리자들이 직장과 가정 생활을 양립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와 조직문화를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노동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여성의 일을 인정하는 문화와 법적제도를 만듦으로써직장-가정 촉진을 향상시키고 자녀양육과 삶의 만족에 긍정적인 기여를해야 한다. 셋째, 정부에서는 여성근로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자녀돌봄의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육아지원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이러한 결론을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서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Work - Family Spillover on the Life Satisfaction of women managers with preschool children, and furthermore, to investigate whether the Child - Rearing Satisfaction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 Family Spillover and Life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5th year of the Korean Women Managers Panel of the Korea Women' s Development Institute was used. In the final analysis, data of 420 female managers with preschool children were used. As the analysis method, we performed the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using SPSS Process Macro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 using Bootstrapping.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ork-Family Conflict has a negative effect on child rearing satisfaction. Second, Work-Family Conflict negatively affects the life satisfaction of women managers. Third, Child Rearing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Family Conflict and Life Satisfaction. While, Work- Family promotion had almost same impact on life satisfaction as well as child rearing satisfaction, although derection was oppoesed. Based on these results, following suggestions are insisted. First, government and corporate organizations need to establish institutional devic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to enable women managers to reconcile their workplace and family, and in particular to create ways to reduce working hours. Second, creating a culture and legal system to recognize women's work can improve work-family facilitation and positively contribute to child care and life satisfaction. Third,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childcare support policies that meet the needs of female workers and raise the satisfaction of child care. Based on these conclusions, we describ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