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대학생의 역경후성장 모형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검증(Test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on posttraumatic growth)
- 개인저자
- 현숙자
- 수록페이지
- 183-210 p.
- 발행일자
- 2017.02.28
- 출판사
- 한국청소년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역경후성장 모형의 핵심경로를 기반으로, 침투반추와 의도반추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개입을 통해 역경후성장을 더 증진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79명을 대상으로, 역경후성장, 자기자비, 침투반추, 의도반추를 측정하여, 매개된 조절모형을 연구모형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자기자비는 의도반추, 역경후성장과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침투반추와 역경후성장은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침투반추와 의도반추는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역경후성장 모형의 핵심경로를 재검증한 결과, 침투반추와 역경후성장의 관계에서 의도반추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침투반추는 역경후성장에 직접적인 부적 영향을 끼치지만, 침투반추는 의도반추를 매개로 역경후성장에 이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침투반추는 자기자비의 조절효과를 통해 의도반추를 더 증가시켰다. 넷째, 연구모형인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침투반추와 의도반추의 경로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고, 이러한 경로에 이어 역경후성장으로 연결됨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역기능적인 침투반추가 자기자비와의 조절효과를 통하여 의도반추를 확장시킨 후, 역경후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상담실제의 시사점과 추후연구의 제언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liberate rumination and intrusive rumination in order to prove that this intervention could cause posttraumatic growth to increase. A total of 279 undergraduate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regarding the four variables such as posttraumatic growth, self-compassion, intrusive rumin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The data were worked out through PASW 18.0 and SPSS Macro to analyze mediated moderation of self-compassion as a research model.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intrusive rumin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hile intrusive rumination, posttraumatic growth and self-compassion were not correlated. Additionally, posttraumatic growth, deliberate rumination, and self-compass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the mediating model showed deliberate rumination partially mediated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Thir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rough the moderation of self-compassion, intrusive rumination effectively caused deliberate rumination to increase. Fourth, mediated moderation of self-compassion was investigated as a research model. Accordingly, self-compassion significantly moderated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through the moderation of self-compassion, instead of intrusive rumination, deliberate rumination increased and it could be linked with posttraumatic growth subsequently.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ese findings for counseling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together with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